2020. 12. 1. 12:42ㆍ한시
바닷바람 불어오니 솔바람 소리 비장하고 |
海風吹去悲聲壯 |
이 시는 기묘사화로 김정이 제주도로 유배를 가는 도중 해남의 어느 바닷가에 있는 소나무를 보고 지었다 한다. 시 전체가 자신을 노래하고 있는데 실제 그가 본 소나무의 모습도 꼭 이럴 것만 같다. 겨울철 거센 해풍에 의연한 소나무의 모습과 뜻을 품었지만 큰 세파에 휩쓸리고 있는 저자의 상황이 겹쳐있다. 역경 속에서 품위를 잃지 않는 정신이 돋보인다. 『대동야승』의 「김정전(金淨傳)」에는 이 시와 함께 다른 두 편의 시도 함께 소개되어 있다. 다른 시들은 좀 더 구슬프고 애처로워 소개하기가 꺼려진다. 이 때 김정은 아직 한창 나이인 34세였고 이태 뒤에 제주도에서 사사되었다. 한편 23세 때 정도전이 쓴 시를 보면 이 시와는 반대의 기상이 있다. 1364년 여름 전교 주부(典校注簿)로 개경에 있을 때 지은 시이다. 푸른 소나무 길 옆에서 자라니 蒼松生道傍 같은 제목 아래 거문고로 자신을 의인화한 시가 또 한 편 있는데 “지금 백아는 어디 있는가. 온 누리에 지음이 없구나.[伯牙今何在? 知音四海空.]”라는 표현을 보면 당당한 자부와 거침없는 패기가 드러나 있다. 갓 벼슬하여 세상에 뜻을 펴 보려고 하는 사람과 뜻이 꺾여 앞날을 예측하지 못하는 사람의 심경은 자연 다르고 그에 따라 보는 눈이 이처럼 다르다. 소나무를 말하였으나 사실 자신을 노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무꾼은 쑥처럼 천하게 보지만 樵夫賤如蓬 소나무에서 시련과 극복을 보고 있지만 자못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사람의 성장을 염두에 둔 우의적 발상이다. 도연명도 저 유명한 『귀거래사』에서 “날은 어둑어둑 곧 해가 지려 하는데, 외로운 소나무를 어루만지며 서성거리네.[景翳翳以將入, 撫孤松而盤桓.]”라고 하였고 소동파도 그의 시에서 “사람들은 모두 느릅나무나 버드나무를 심어 놓고, 울창한 그늘이 생기기를 앉아서 기다리지만, 나는 소나무와 측백나무를 심어 놓고, 변치 않는 이 마음을 지킨다.[人皆種楡柳, 坐待十畝陰, 我獨種松柏, 守此一片心.]”라고 하였으니, 옛 문인들이 소나무에 자신의 모습을 많이 투영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나는 들으니, 조후(曺侯) 는 마음을 맑게 하여 자신에게 임하고 마음을 비워 남을 대하며, 그 맑고 빈 마음으로 정무를 보기 때문에 외물의 누가 마음을 어지럽히지 못한다고 한다. 군무(軍務)를 보는 여가에 이 정자에 올라가면 소나무의 그늘이 땅에 가득 펼쳐져 있고 시원한 바람이 절로 일어나, 한적하기가 마치 산림에 은거해 있는 사람의 거처로 들어가는 것과 같아 시끄러운 세속의 잡사를 잊을 수 있다.” 이어 시를 붙여 주었다. 정자 높고 그늘은 시원하여 亭高地爽 이처럼 소나무는 긴장을 풀고 정신을 맑게 하는 여름날의 풍취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편이 오늘날 현대인에겐 더 실감나게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이번 연휴에 하회의 부용대에 올라가 하회마을을 내려다보니 겸암 유운룡이 비보림으로 심었다는 솔숲이 마을 경관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이름난 소나무 숲은 이처럼 비보림으로 조성되어 가꾸어진 것이 많다. 소나무는 무덤이나 궁궐, 누정 등 의미 있는 인공적인 구조물 옆에 적당히 서 있을 때 특히 아름답고 숭고해 보여 자신이 본래 타고난 품위를 제대로 발산하는 듯하다. 요지연도나 십장생도 등에는 잘 생긴 소나무가 그려져 있고 동궐도엔 소나무가 잔뜩 그려져 있어 궁궐을 신선 세계로 표현하였나 하는 의심을 주기도 한다. 김홍도나 정선은 실제 소나무보다 소나무를 더 소나무답게 그려 놓았고 이인상은 소나무에 자신의 지취를 표백해 놓았다. 특히 이런 그림에 그려진 소나무는 고고한 기상과 함께 탈속적인 느낌을 준다. 우연히 소나무 그늘 아래 와서 偶來松樹下 산중에 사니 추위가 가고 더위가 오는 계절은 대강 알아도 세속의 시간은 잘 모른다. 그 행적이 묘연한 태상은자(太上隱者)의 솜씨이다. |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偪側行 - 杜甫 (0) | 2021.05.04 |
---|---|
귤송(橘頌) - 굴원(屈原) (0) | 2021.04.05 |
客至-杜甫 (0) | 2019.02.19 |
獨木橋 - 김시습 (0) | 2019.02.19 |
이백,고적,맹교의 시 (0) | 2019.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