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8. 2. 15:43ㆍ茶
送童子下山(송동자하산) - 김지장(金地藏)
(산을 내려가는 동자를 보내며)
空門寂寞汝思家(공문적막여사가) : 쓸쓸한 절간이라 집 생각던 네가
禮別雲房下九華(예별운방하구화) : 승방 작별하고 구화산 하직인가?
愛向竹欄騎竹馬(애향죽란기죽마) : 죽란을 향하여 竹馬타기 그리며
懶於金地聚金沙(나어김지취김사) : 金地에서 金싸라기 모으기 게을렀지.
添甁澗底休招月(첨병간저휴초월) : 시냇물 병에 긷다 달 불러 머물면
烹茗甌中罷弄化(팽명구중파롱화) : 茶甌에 茶달이는 솜씨마저 잊곤 했지.
好去不須頻下淚(호거불수빈하루) : 좋을 데로 가며 부디 자주 눈물짓지 말라
老僧相伴有煙霞(노승상반유연하) : 노승에겐 서로 짝할 구름안개 있느니.
☞ 중국 당시집(唐詩集)에는 김교각 스님의 다시(茶詩)한편이 실려있는데 호랑이한테서 구해준 고아 아이가 절에서 살다 적막함을 못이기자 시 한수를 지어 마을로 돌려보내니 이 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시라고 할 수 있다합니다.
偶詠(우영) - 서헌순(徐憲淳)
(우연히 읊다)
山窓盡日抱書眠(산창진일포서면) : 산창 아래 종일토록 책 안고 잠이 들어
石鼎猶留煮茗烟(석정유류자명연) : 돌솥엔 아직도 차 달이던 연기 남았어라
簾外忽聽微雨響(렴외홀청미우향) : 주렴 밖에 갑자기 가랑비 소리
滿塘荷葉碧田田(만당하엽벽전전) : 연못 가득한 연잎 푸른빛 살랑살랑.
☞서헌순(徐憲淳;1801-1868), 號 石耘.
讀茶經(독다경) - 구봉령(具鳳齡 1526-1586)
我欲詠茶詩(아욕영다시) : 내가 다시를 노래하고픈 충동에
煙霞爽牙頰(연하상아협) : 놀에 피어나는 연기조차 양어금니를 시원하게 하네.
不如讀茶經(불여독다경) : 다경의 뜻을 따르지 않아
氷雪生肺膈(빙설생폐격) : 눈 같은 차가움이 가슴에 생기었네.
茶詩狀皮膚(다시상피부) : 다시는 살갖을 이루게 하고
茶經搜血脈(다경수혈맥) : 다경은 핏줄을 찾아 들어가게 한다네.
鴻漸信奇士(홍점신기사) : 기이한 선비 홍점에 대한 믿음이
相骨遺毛色(상골유모색) : 뼈마디에서 털끝까지도 전해지는구려.
一讀通神靈(일독통신령) : 한번 읽으니 신령과 통하고
再讀鍊精魄(재독련정백) : 또 읽으니 넋도 깨끗이 치유되었네.
因復啜玉乳(인부철옥유) : 옥유를 자주 마신 까닭에
習習風生腋(습습풍생액) : 자꾸만 겨드랑이엔 바람이이네.
依然駕我仙(의연가아선) : 내 저절로 신선이 되어서
飛上淸都月(비상청도월) : 하늘에 오르니 도읍의 달도 맑구려.
'茶'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詩(다시) - 정약용(丁若鏞) (0) | 2017.08.02 |
---|---|
[스크랩] 妙高臺上作. 鎖夏詩. 茶亭 - 茶詩 (0) | 2017.08.02 |
[스크랩] 정약용과 혜장선사(丁若鏞과 惠藏禪師) - 茶詩 (0) | 2017.08.02 |
[스크랩] 茶詩 (0) | 2017.08.02 |
[스크랩] 茶詩 (0) |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