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칠완다가(七椀茶歌) / 盧仝

2017. 8. 1. 16:57

.



칠완다가(七椀茶歌)




七碗茶


《七碗茶》是唐代詩人盧仝的七言古詩《走筆謝孟谏議寄新茶》中重點的一部分,寫出了品飲新茶給人的美妙意境,廣爲傳頌。



茶歌內容


日高丈五睡正濃, 軍將打門驚周公。

口雲谏議送書信, 白絹斜封三道印。

開緘宛見谏議面, 手閱月團三百片。

聞道新年入山裏, 蟄蟲驚動春風起。

天子須嘗陽羨茶, 百草不敢先開花。

仁風暗結珠蓓蕾, 先春抽出黃金芽。

摘鮮焙芳旋封裹, 至精至好且不奢。

至尊之余合王公, 何事便到山人家?

柴門反關無俗客, 紗帽籠頭自煎吃。

碧雲引風吹不斷, 白花浮光凝碗面。


一碗喉吻潤, 二碗破孤悶。

三碗搜枯腸, 惟有文字五千卷。

四碗發輕汗, 平生不平事,盡向毛孔散。

五碗肌骨清, 六碗通仙靈。

七碗吃不得也, 唯覺兩腋習習清風生。


蓬萊山, 在何處? 玉川子乘此清風欲歸去。

山上群仙司下土, 地位清高隔風雨。

安得知百萬億蒼生命, 墮在顛崖受辛苦。

便爲谏議問蒼生, 到頭還得蘇息否。



作品賞析


《七碗茶歌》是《走筆謝孟谏議寄新茶》中的第三部分,也是最精彩的部分,它寫出了品飲新茶給人的美妙意境:第一碗喉吻潤,第二碗幫人趕走孤悶;第三碗就開始反複思索,心中只有道了; 第四碗,平生不平的事都能抛到九霄雲外,表達了茶人超凡脫俗的寬大胸懷;喝到第七碗時,已兩腋生風,欲乘清風歸去,到人間仙境蓬萊山上。一杯清茶,讓詩人潤喉、除煩、潑墨揮毫,並生出羽化成仙的美境。寫出了茶之美妙。茶對他來說,不只是一種口腹之飲,茶似乎給他創造了一片廣闊的精神世界,將喝茶提高到了一種非凡的境界,專心的喝茶竟可以不記世俗,抛卻名利,羽化登仙。



作者簡介


盧仝(音tóng 〈形〉)(約795~835年),號玉川子,濟源(今河南)人,祖籍範陽(今河北涿縣),唐代詩人。盧仝一生愛茶成癖,被後人尊爲茶中亞聖。
盧仝著有《茶譜》,被世人尊稱爲 “茶仙”。

這首《七碗茶歌》在日本廣爲傳頌,並演變爲“喉吻潤、破孤悶、搜枯腸、發輕汗、肌骨清、通仙靈、清風生”的日本茶道。日本人對盧仝推崇備至,常常將之與“ 茶聖”陸羽相提並論。

至今的九裏溝還有玉川泉、品茗延壽台、盧仝茶社等名勝。




古文眞寶前集●고문진보전집


茶歌

盧仝 謝孟諫議簡惠茶라


日高丈五睡正濃하니 1]

軍將扣門驚周公이라 [ 軍將扣門驚周公 : 語에 子曰 吾不復夢見周公이라 하니라 ]

口傳諫議送書信하니

白絹斜封三道印이라

開緘宛見諫議面하니

首閱 月團 三百片이라 2]

聞道新年入山裏하여

蟄蟲驚動春風起라

天子須嘗陽羨茶하니 3]

百草不敢先開花라

仁風暗結珠蓓蕾하니

先春抽出黃金芽라

摘鮮焙芳旋封裹하니

至精至好且不奢라

至尊之餘合王公이니

何事便到山人家오

柴門反關無俗客하니

紗帽籠頭自煎喫이라

碧雲引風吹不斷하고

白花浮光凝碗面이라


一碗喉吻潤이요

二碗破孤悶이라

三碗搜枯腸하니

惟有文字五千卷이라

四碗發輕汗하니

平生不平事를

盡向毛孔散이라

五碗肌骨淸이요

六碗通仙靈이라

七碗喫不得하여 

也唯覺兩腋習習淸風生이라 4]


蓬萊山在何處오

玉川子 乘此淸風欲歸去라 5]

山上群仙司下土나 6]

地位淸高隔風雨라

安得知百萬億蒼生이

命墮顚崖受辛苦오

便從諫議問蒼生하노니

到頭合得蘇息否아 7]



차를 읊은 노래

노동 諫議大夫 孟諫이 차를 보내준 것에 사례한 것이다.


해가 한 발이나 높도록 잠이 바로 깊었는데

軍將이 문 두드려 周公의 꿈 놀라 깨게 하였네.

[《論語》에 孔子가 말씀하기를 “내 다시는 꿈에 주공을 뵙지 못하였다.” 하였다.]

입으로 전하기를 諫議大夫가 서신 보내었다 하니

흰 비단에 비스듬히 봉하고 세 개의 도장 찍었구나.

封緘 열자 완연히 諫議大夫의 얼굴 보는 듯하니

첫번째로 月團 삼백 편 보았노라.

들으니 새해의 기운 산속에 들어와

땅속에 숨어 있던 벌레 놀라 움직이고 봄바람 일으킨다네.

天子는 모름지기 陽羨의 차 맛보셨을 것이니

온갖 풀들 감히 차보다 먼저 꽃 피우지 못했으리라.

온화한 바람에 살며시 진주같은 꽃봉오리 맺히니

봄에 앞서 황금같은 싹 돋아났으리라.

신선한 싹 따서 향기롭게 볶아 곧바로 싸서 封緘하니

지극히 精하고 지극히 좋으면서도 사치하지 않다오.

至尊께서 드신 나머지는 王公에게나 적합한데

어인 일로 곧 山人의 집에 이르렀나.

사립문 다시 닫아 세속의 손님 없으니

紗帽로 머리 감싸고는 스스로 차 끓여 마신다오.

푸른 구름 같은 차 연기 바람을 끌어 끊임없이 불어대고

흰 꽃 같은 차 거품 빛이 떠 찻잔 표면에 엉겨 있네.


첫째 잔은 목과 입술 적시고

둘째 잔은 외로운 고민 달래고

셋째 잔은 마른 창자 헤쳐주니

오직 뱃속에는 문자 오천 권이 있을 뿐이라오.

넷째 잔은 가벼운 땀을 내니

평생에 불평스러운 일

모두 땀구멍 향해 흩어지게 하네.

다섯째 잔은 肌骨을 깨끗하게 하고

여섯째 잔은 神靈을 통하게 하며

일곱째 잔은 마실 것도 없이

겨드랑이에 날개 돋아 습습히 청풍이 읾을 느끼네.


蓬萊山은 어느 곳에 있는가

玉川子는 이 淸風 타고 돌아가고 싶다오.

산 위의 여러 신선들 下土 맡았으나

지위가 淸高하여 風塵 세상과 막혔네.

어찌 알겠는가 백만억조의 蒼生들

운명이 높은 벼랑에 떨어져 고통 받음을.

곧 諫議大夫에게 蒼生을 묻노니

필경에는 마땅히 蘇生함을 얻겠는가.


賞析


이 시는《詩林廣記》前集 8권에 실려 있는 바, 제목이〈붓을 놀려 孟諫議가 새 차를 보내준 것에 사례하다[走筆謝孟諫議寄新茶]〉로 되어 있다. 맹간의는《萬姓統譜》에 “孟簡은 字가 幾道이니 平昌 사람이다. 시를 잘 하였고 節義를 숭상하였다. 宏辭科에 합격하였고 연이어 승진하여 諫議大夫에 이르렀다.

《新唐書》列傳 85권에 傳이 있다.” 하였다.

이 시와 范希文(范仲淹)의〈鬪茶歌〉는 모두 훌륭한 작품으로 거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데, 다만 노동은 “至尊께서 드신 나머지는 王公에게나 적합한데, 어인 일로 곧 山人의 집에 이르렀나.[至尊之餘合王公 何事便到山人家]” 하였고, 범희문은 “북원의 천자에게 장차 바치려 하면서 숲속의 영웅호걸들 먼저 아름다움을 다투네.[北苑將期獻天子 林下雄豪先鬪美]”라고 하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역주1 丈五 : 五丈 또는 1丈 5尺이라 한다.

역주2 月團 : 둥근 달 모양으로 떡처럼 만든 茶를 말한다.

역주3 陽羨茶 : 陽羨에서 생산되는 차로, 陽羨은 常州府 宜興縣 동남쪽에 있는데 좋은 차의 명산지로 알려져 있다.

역주4 七碗喫不得 也唯覺兩腋習習淸風生 : 七碗喫不得也 唯覺兩腋習習淸風生로 구두를 떼기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역주5 玉川子 : 작자인 盧仝의 號이다.

역주6 山上群仙司下土 : 山은 전설에 神仙이 살고 있다는 三神山의 하나인 蓬萊山을 가리키고 下土는 人間世를 가리킨 것이다.

역주7 到頭合得蘇息否 : 到頭는 끝내, 또는 결국의 뜻이며 合得은 當得과 같은 말로,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到頭는 地面ㆍ地位의 뜻이니, 결국에 이르러서는 마땅히 창생들을 소생하게 하겠느냐고 말한 것이다.” 하였고, 金隆의《勿巖集》에는 “到頭는 본래 중국말인데, 정확한 뜻은 자세하지 않다. 대개 그 地頭에 이르렀음 말한 것이니, 지두는 地面ㆍ地位와 같은 뜻이다. 合은 合當과 같으니 결국에 이르러서는 마땅히 창생들을 소생하게 하겠느냐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해역 출처 :

/ 전통문화연구회.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Content.do?mId=m01&bnCode=jti_4c0501&titleId=C195




======================================



走筆謝孟諫議寄新茶(주필사맹간의기신차);

붓을 놀려 맹간의가 부쳐준 햇차에 사례하다.


日高丈五睡正濃, 해는 높이 솟아 낮잠은 정녕 깊은데

軍將打門驚周公。 장수는 문을 두드려 주공을 놀라게 하네

口雲谏議送書信, 간의가 편지를 띄운다 소식 전하고

白絹斜封三道印。 흰 비단 비스듬히 삼도의 도장으로 봉하였네

開緘宛見谏議面, 봉함을 여니 완연히 보이는 간의의 얼굴

手閱月團三百片。 월단차 삼백편을 손으로 읽는다

聞道新年入山裏, 도를 들으러 새해엔 산속에 들어가니

蟄蟲驚動春風起。 동면의 벌레들 놀라 깨어나니 봄바람이 일어나네

天子須嘗陽羨茶, 천자가 아직 양선차를 맛보지 못하니

百草不敢先開花。 백초는 감히 앞서 꽃 피우지 못하네

仁風暗結珠蓓蕾, 어진 바람 몰래 영롱한 구슬을 꿰매고

先春抽出黃金芽。 이른 봄에 황금의 싹이 돋아나는데

摘鮮焙芳旋封裹, 신선한 차를 덖어 빙 돌려 봉하였구나

至精至好且不奢。 지극히 정갈하고 참되어 사치스럽지 않아

至尊之余合王公, 지존의 나머지는 왕공에게 맞는데

何事便到山人家? 어쩐 일로 바로 산사람에게 보냈든가

柴門反關無俗客, 사립문 닫혀있고 찾아오는 사람 없어도

紗帽籠頭自煎吃。 사모를 머리에 쓰고 홀로 차를 끓여 마시네

碧雲引風吹不斷, 푸른 구름은 끊임없이 바람을 부르고

白花浮光凝碗面。 백화는 떠서 차 그릇에 엉기어 있네


一碗喉吻潤, 첫째 잔을 드니 목과 입술이 부드러워지고

二碗破孤悶。 둘째 잔을 드니 고독과 번민이 사라지네

三碗搜枯腸, 惟有文字五千卷。셋째 잔을 마시니 마른 창자에 오직 문자 오천 권만 남아있고

四碗發輕汗, 平生不平事,盡向毛孔散。넷째 잔에 이르니 내 평생에 불평스러웠던 일들이 온몸의 털구멍을 통해 흩어지네

五碗肌骨清, 다섯째 잔을 마시니 근육과 뼈가 맑아지고

六碗通仙靈。 여섯째 잔에서 신선의 영기에 통한다

七碗吃不得也, 唯覺兩腋習習清風生。 일곱째 잔에서는 마셔도 얻을 것이 없구나. 오직 양 겨드랑이에서 솔솔 맑은 바람이 나옴을 느낄 뿐이다


蓬萊山, 在何處? 봉래산이 어디 있느냐

玉川子乘此清風欲歸去。 나 옥천자는 이 청풍을 타고 돌아가고 싶다

山上群仙司下土, 산위의 신선들은 아래 세상을 맡고

地位清高隔風雨。 땅은 맑고 높아 비바람을 막는다

安得知百萬億蒼生命, 墮在顛崖受辛苦。

어찌 알겠는가. 백만 억조창생이 천길 벼랑에 떨어져 천신만고 겪음을

便爲谏議問蒼生, 到頭還得蘇息否。

바로 간의를 좇아 물을거나, 억조창생이 끝내 숨 돌릴 수 있는가 없는가를



===================================




“茶仙”、“茶道”和“七碗茶詩”


​​陸羽著有《茶經》,對茶文化和茶業發展産生了深遠影響,被尊爲“茶聖”。你可知道被尊“茶仙”是誰人?


一、“茶仙”


盧仝,唐代詩人,是“初唐四傑”之一盧照鄰的嫡系子孫。

他自號玉川子,一生刻苦讀書,博覽經史,工詩精文,唯不願仕進。他嗜茶成癖,其“七碗茶詩”被人千載傳唱。

後流傳到日本,並深深影響了日本的茶道。盧仝還著有《茶譜》,世人尊稱其爲“茶仙”。


二、“七碗茶詩”


《七碗茶詩》是盧仝七言古詩《走筆謝孟谏議寄新茶》中的重點部分,事因河南沁園景區有五十五眼泉,盧仝常邀韓愈、張籍、孟郊、賈島等好友到桃花泉煮飲,歌賦詞呤,留下了很多佳作。盧仝將“竹串子茶”的藥理、藥效溶入茶飲中,提神醒腦、淨化靈魂、才思文湧,創造了妙不可言的境界。《走筆謝孟谏議寄新茶》:


日高丈五睡正濃,軍將打門驚周公。口雲谏議送書信,白絹斜封三道印。開緘宛見谏議面,手閱月團三百片。聞道新年入山裏,蟄蟲驚動春風起。天子須嘗陽羨茶,百草不敢先開花。仁風暗結珠蓓蕾,先春抽出黃金芽。摘鮮焙芳旋封裹,至精至好且不奢。至尊之余合王公,何事便到山人家?柴門反關無俗客,紗帽籠頭自煎吃。碧雲引風吹不斷,白花浮光凝碗面。


一碗喉吻潤,二碗破孤悶。三碗搜枯腸,惟有文字五千卷。四碗發輕汗,平生不平事,盡向毛孔散。五碗肌骨清,六碗通仙靈。七碗吃不得也,唯覺兩腋習習清風生。


蓬萊山,在何處?玉川子乘此清風欲歸去。山上群仙司下土,地位清高隔風雨。安得知百萬億蒼生命,墮在顛崖受辛苦。便爲谏議問蒼生,到頭還得蘇息否。


一杯清茶,讓詩人享受到茶飲的養生功效和樂趣,激發出撥墨詩興,並生出羽化成仙的茶境。



三、“茶道”


盧仝的《七碗茶詩》(又曰《七碗茶歌》)在日本廣爲傳頌,並演變爲“喉吻潤、破孤悶、搜枯腸、發輕汗、肌骨清、通仙靈、清風生”的日本茶道。日本人對盧仝推崇備至,常常將之與“ 茶聖”陸羽相提並論,因此盧仝在日本久負盛名。



四、“盧仝故裏”


盧仝生于河南濟源,葬于濟源。在抗日戰爭時期,“盧仝故裏”碑曾震懾了日本鬼子,使全村免受塗炭。據說當年有一天,日本鬼子從南門進村,一路燒殺搶擄還殺害了三位村民。不久,又一隊鬼子兵從村外向村東門走來,准備再次進村搶掠。奇怪的是,當他們走到“盧仝故裏”碑前卻停下了,領頭的鬼子軍官端詳了一番石碑上的字迹之後,竟彎腰向石碑鞠了三個躬,然後帶領鬼子兵匆匆離去,村子因此免去了一場災禍。“詩仙”的力量竟在千年之後挽救了村民。



五、“甘露之變”


公元835年,長安發生“甘露之變”,盧仝受到連累而慘死。盧仝臨刑前,委托友人照顧自己的孩子。“長安有交友,托孤遽棄移”,賈島在《哭盧仝》的詩句中講述了當時的情形。



六、《玉川子詩集》


盧仝詩風性格類孟郊狷介、似韓愈之豪邁,是韓孟詩派的重要人物之一。其詩作對當時腐敗朝政和民生疾苦有所反映,現存詩103首入《玉川子詩集》。




一生只系茶與詩的「茶仙」盧仝(圖)


《盧仝煮茶圖》 (網路圖片)

盧仝(lú tóng),唐詩人。自號玉川子。河南濟源市思禮人。年輕時隱居少室山。家境貧困,僅破屋數間。但他刻苦讀書,家中圖書滿架。仝性格狷介,頗類孟郊;但其狷介之性中更有一種雄豪之氣,又近似韓愈。

朝廷曾兩度要起用他為諫議大夫,而他不願仕進,均不就。曾作《月食詩》諷刺當時宦官專權,受到韓愈稱讚(時韓愈為河南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