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7. 27. 17:47ㆍ周易의 理解
坤道, 해를 품은 달!
이번 자료는 주역의 乾卦와 坤卦의 문장들을 대응하여 비교하는 글입니다.
坤괘의 문장은 매우 짧고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살펴본 乾괘의 문장을 바탕으로 두어야 바른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乾坤의 문장을 비교하는 까닭은
坤의 德은 馴致에 있으며 乾에 짝하는 牝馬에서 性情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坤의 문장이 간략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위백양의 <주역참동계>에서는 우주를 솥으로 비유하여
솥뚜껑을 하늘(天), 솥단지를 땅(地)로 보고 그 솥단지 안에서 변화의 道를 찾았습니다.
주역을 서술하는 목적은 하늘(天-솥뚜껑)에 있지 않고
지구라는 땅, 공간(地-솥단지)에서 일어나는 만물의 변화를 觀하는데 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주역의 서술은 땅이 아닌, 하늘이 종속된 개념입니다.
땅의 변화를 서술하기 위해 그 근본이 되는 하늘을 이야기 할뿐입니다.
陰雖有美 含之 以從王事 弗敢成也. 地道也 妻道也 臣道也. 地道 无成而代有終也.
天地變化 草木蕃 天地閉 賢人隱. 易曰 括囊无咎无譽 蓋言謹也.
땅은 감히(敢) 이룰 수 없으며 마침(終)만 있다고 선언하고 있지만,
주역이 64괘를 통해서 서술하고 있는 것은 '하늘'이 아니라 '땅위(地上)의 일(事)'입니다.
그러므로 坤卦는 솥의 입구(주둥이)가 되겠습니다.
나머지 62괘는 솥단지 안에 존재합니다. 坤에 대한 서술은 이제부터 시작인거죠.
지금 살펴보는 坤卦의 一章은
땅의 일(62卦)을 본격적으로 서술하기 위한 '들어가기' 글입니다.
(乾) ☰☰ 乾 元亨利貞
(坤) ☷☷ 坤 元亨利牝馬之貞 / 君子 有攸往. 先迷 後得主利 /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 吉
1. 牝馬之貞
2. 先迷 後得主利
3. 西南得朋 東北喪朋
4. 安貞 吉
이 짧은 坤卦의 卦辭에는
주역의 其人이 논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짧고 강하게 제시되어 있습니다!
牝馬之貞는 馴致를 이야기 하고자 함입니다.
땅에서 생명이 번성하는 일은 하늘의 태양이 제 힘을 발휘해야만 가능합니다.
인간이 땅을 운영하는 일 또한 자연의 재앙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지요.
만물의 번성함은 하늘만이 이룰 수 있습니다.
결국 인간에게 부여된 '땅의 운영에 대한 권능(能)'이란 무성한(成) 생산에 있음이 아니라
하늘이 내신 풍요로운 곡식을 분배(利)하는 지혜와 능력을 말합니다.
先迷 後得 主利
그러므로 주역은 내내 主利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자연에 대한 미혹됨을 극복하고 後得한 그것! 神物(曆書)은,
결국 인간이 주도하는 시간표가 아니라 하늘의 뜻을 좇아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주어진 땅의 운영에 관한 권능이란,
하늘의 시간표를 따라(馴) 그 이로움(美利)을 취하여 땅을 다스려가는(致) 것일 뿐입니다.
朋은 친구, 무리, 함께, 번성함, 드러남의 뜻이 있습니다.
또 用(쓸 용)의 뜻도 있습니다.
用 (쓸 용)
甬 (길용)(대롱 동)
庸 (쇠북종)
銿 (큰종, 쇠북)
달의 날짜를 헤아릴 때 60일(60甲子)로 헤아리기 때문에
달의 消息주기가 2回가 되어야 一巡하므로 朋이 됩니다.
用의 변형된 글자들의 쓰임새로 보아도 用은 시간과 관련이 있는 字形입니다.
(종각의 보신각 종은 시간을 알리는 용도입니다)
鵬 (붕새 붕) - 朋 (飛龍)
鯤 (곤이 곤) - 比 (潛龍)
그런데 흥미로운 字形은 따로 있습니다. 鵬과 鯤이죠.
이것은 <장자>에서 태양의 떠오름을 鵬으로 潛藏됨을 鯤으로 비유했던 글자인데,
朋은 친구들이 웅성웅성 함께 하는 모습으로 만물의 무성함을,
昆은 태양이 두 날개를 접은(比) 모습으로 陽의 잠장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昆은 맏형(晜), 벌레(虫=巳)로도 풀이되고 있으니 잠장된 陽(子-씨앗)과 같습니다.
西南得朋 東北喪朋
이 문장은 시간의 行에 대한 서술입니다.
서남은 태양이 鵬으로 떠오르는 시간의 行으로 順道(선천팔괘-만물의 생장),
동북은 태양이 鯤으로 숨는 시간으로 逆道(후천팔괘-美利, 우주정신의 영글음)입니다.
安貞 吉
이 함축적이고도 비유적인 卦辭의 짧은 첫문장에 <安>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坤卦에 서술되어 있는 문장들과 이미지가 겹쳐지고 있는 것은 <논어> 4章 里仁編 입니다.
그렇습니다. <安貞 吉>은 安土(아름다운 공동체)의 바로 세움을 말하고 있습니다.
주역의 최종 목적은 安土, 아름다운 공동체, 문명사회의 건설입니다.
子曰 里仁이 爲美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子曰 君子之於天下也에 無適也하며 無莫也하여 義之與比니라
子曰 德不孤라 必有鄰이니라
논어 4章 해석자료(http://blog.daum.net/pulsup/641) 링크해 드립니다.
직접 비교해 보시죠.
(乾-1) 彖曰 大哉 乾元 萬物資始 乃 統天. 雲行雨施 品物流形.
(坤-1) 彖曰 至哉 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 坤厚載物 德合无疆 含弘光大 品物咸亨.
이렇게 문장을 乾坤으로 1:1 대응으로 펼쳐놓으니 문장의 뜻이 선명하게 보이죠?
1. 至는 冬至(子)와 夏至(午) 2至
2. 아버지 날 낳으시고(乾-始), 어머니 날 기르시다(坤-生)
3. 統天은 만물을 앞서 이끌어감, 順承은 하늘을 본받는 땅의 성정(馴)
4. 流形(氣-陽-木) - 咸亨(質-陰-水土)
(乾-始) 流은 낳다, 풀리다, 흩어지다, 散
(乾-終) 形은 엉기다, 集
(坤-始) 咸은 머금다, 潛藏
(坤-終) 亨은 드러남, 雜而著
坤厚載物 德合无疆 含弘光大 品物咸亨.
후천팔괘의 乾-巽方은 땅(地)에 대응되는 하늘(天) 이고, (上下)
辰-戌과 丑-未는 땅의 四維로 水土(玄黃)의 물상운동을 나타냅니다. (四方)
太陽(☰) 寒水(質) : 辰(땅의 浮) -- 戌(땅의 沈) / 巽(辰), 乾(戌)
太陰(☷) 濕土(質) : 丑(땅의 開) -- 未(땅의 閤)
辰月은 12支를 대표하며 淸明-穀雨의 절기로 농사비가 내리는 때입니다.
오운의 天干合의 법칙 관련있는 逢龍卽化說의 龍도 이 辰월을 말합니다.
辰月에는 하늘과 땅이 가까이 교접하며 땅(辰戌)과 하늘(巽乾)이 合德합니다
땅은 하늘의 광대함을 머금어 만물이 방창합니다. 雜而著입니다.
이때가 巽(辰)의 때이며 水土合德의 때입니다.
未月로부터 방창하던 만물이 갈무리에 들어갑니다.
하늘의 기운도 응고하기 시작하므로 堅氷(寒露-霜降)의 때를 향해 右旋합니다.
이때가 乾(戌)의 때이며 水土同德의 때입니다.
乾의 氣의 시간은 해가 뜨는 것이 기준이며, (左旋 - 順行)
坤의 質인 물상의 시간은 열매를 맺는 것이 기준입니다. (右旋 - 逆轉)
乾의 싯점은 동북방(艮-丑)에서 시작하고 만물의 드러남, 만화방창을 살핍니다.
坤의 싯점은 서남방(坤-未)의 未월에서 시작하고, 열매(씨앗) 맺힘 현상을 살핍니다.
(乾-2) 大明終始 六位時成 時乘六龍 以御天.
(坤-2) 牝馬地類 行地无疆 柔順利貞 君子攸行.
行 : 사거리, 넓은 대로
午 : 태양이 펼쳐져(十) 가득한(卜) 때
缶 : 午+山, 山은 艮(止)으로 그치다, 멈추다, 가다(行)
止 : 가다(之) / 멈추다(艮)
缶는 항아리라는 뜻으로 쓰이는 글자인데,
옛사람들은 항아리의 불룩한 배에서 한껏 부풀어 오른(浮) 대낮을 연상했나 봅니다.
缶는 艮方에서 離方까지의 시간입니다.
御은 황도길을 따라 태양의 수레가 행차하고 있습니다.
지상의 만물은 그 위대한 태양을 좇아 기꺼이 복종(卩)합니다.
攸라는 글자는 修로 뜻을 분명히 한 글자입니다.
侯(제후) 候(기후) 干(幹) 에서 살펴지는 丨는 기준, 헤아리다, 세우다입니다.
攸는 헤엄을 쳐 강을 건너는 것인데, 근심꺼리(患)를 헤쳐 나감의 뜻입니다.
修는 닦다, 다스리다, 고치다, 손질하다 등의 의미를 갖죠.
攸行의 攸를 어조사로 해석하기 보다, 修行으로 해석해 감이 매끄럽겠습니다.
大明終始, 6효를 세워 시간을 밝혔습니다(發時).
行地无疆, 땅의 운영(美利)은 그 시간에 어김없이 끝없이 계속됩니다(永貞).
(乾-3) 乾道變化 各正性命 保合大和 乃利貞. 首出庶物 萬國咸寧.
(坤-3) 先迷失道 後順得常 西南得朋 乃與類行. 東北喪朋 乃終有慶. 安貞之吉 應地无疆.
(자료) 比-昆-慶, 건곤이 짝하다, 혼인하다 ( http://blog.daum.net/pulsup/627 )
慶은 鹿과 愛가 섞여 만들어진 字形입니다.
사슴가죽은 복희와 여와 남매의 혼사를 위해 쓰였던 神物입니다.
사슴뿔(角)에 대한 신앙은 생명의 蘇生과도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鹿에서는 广 - 覀(西-덮다) - 比 의 의미소들이 살펴지죠?
사슴(鹿)에 쓰인 比가 이제는 예사롭지 않게 보이는 군요.
주역에서의 比는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昆의 德>이니 매우 큰 비중을 지닌 글자입니다.
水土同德의 뜻으로 생명의 潛藏, 생명의 배태(玄), 음양의 咸藏(씨앗)을 뜻합니다.
동북은 艮으로 생명이 그쳐있는 때이니 乃終有慶은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를 지녔겠습니다.
東 - 西
戼 - 丣
卯 - 酉
屯 - 电
宀 - 广
寅 - 庚
朋 - 比
流 - 形 (解 - 蹇)
亨 - 咸 (萃 - 升)
漢字의 세계에서는 좌우의 공간개념이 확실하게 분별되어 표현됩니다.
이것은 시간의 行에 관한 아주 중요한 개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順-逆, 左-右, 終始의 분별이 정확해야 주역의 문장해석이 簡易해 집니다.
德合无疆, (精) 合德은 만물번창을 위한 交合의 德입니다.
行地无疆, (氣) 땅의 自彊不息하는(하늘을 본받은) 성실(浮, 誠)의 行입니다.
應地无疆, (神) 땅(广, --)에 생명의 불씨(隹)를 품고 있는 생명의 주관자(神=心)입니다.
无疆을 간단하게 끝이 없다!는 감탄의 구절로만 해석하고 싶었는데,
옛사람들이 3无疆을 중시 여기셨다니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갑니다.
3无疆은 坤이 갖는 精 - 氣 - 神 입니다. 역시, 알흠다운 포인트가 있었군요!
精氣神은 만물, 그중에 특별히 인간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이것은 우주의 3才와 동일하므로 주역에서도 이렇게 3단계 논술법을 상용합니다.
(乾-4) 象曰 天行健 君子以 自彊不息
(坤-4) 象曰 地勢坤 君子以 厚德載物
隶 미치다, 닿다, 종속하다(屬), 꼬리(尾)를 잡다
聿 붓 율 / 律 법률 률
畵 그림 화 / 劃 그을 획
建은 畵-劃에서 살펴지는 바와 같이 땅을 구획하고 계산하는 일입니다.
쭉쭉 뻗은 큰 도로의 획을 긋는 일이니 거침이 없겠지요?
乾의 움직임을 거침없는 하이킥(健)으로 표현했군요.
그에 대하여 땅은 坤의 地勢라고 했습니다.
申은 电(번개 신)으로 땅속으로 태양이 들어가는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曰은 '태양'이 아니라 臼로 절구공이, 웅덩이, 움푹한 담을 그릇입니다.
屯에서는 들썩 들썩 열리는 땅을,
电에서는 견고(固, 困)하게 地戶의 문을 닫아버린 땅(臼)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坤은 모든 것을 품고 담아내는(厚德載物) 땅의 德입니다.
乙(乚)은 꿈틀거리는 생명력이자 昇降, 浮沈하는 陽(乙木)입니다.
(乾-5) 用九見羣龍 无首吉 / 用九天德 不可爲首也 / 乾元用九 天下治也 / 乾元用九 乃見天則
(坤-5) 用六 利永貞 象曰 用六永貞 以大終也
乾의 쓰임(用九)는 무리(群)로 드러난 龍, 만물의 <雜而著>를 헤아리기 위함입니다.
乾의 쓰임은 만물의 體로써 드러나지 않은 근본(理)입니다.
乾의 쓰임은 우주가 아닌 땅의 일(天下의 事)을 헤아리기 위함 입니다.
乾의 쓰임은 하늘의 법칙을 그대로 머금은(冒) 법칙을 기록한 曆書로 用됩니다.
坤의 쓰임(用六)은 美利, 利用厚生을 목적으로 합니다.
坤의 쓰임은 陽을 품어 씨앗(大終)으로 潛藏하여 永貞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乾-6) 文言曰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 體仁 足以長人 嘉會 足以合禮 利物 足以和義 貞固 足以幹事.
君子行此四德者 故曰 乾元亨利貞.
乾元者 始而享者也 利貞者 性情也
乾始 能以美利 利天下 不言所利 大矣哉.
大哉 乾乎 剛健中正純粹 精也. 六爻發揮 旁通情也.
時乘六龍 以御天也 雲行雨施 天下平也.
이 글은 乾 一章과 坤 一章을 1:1 대응시키고 남은 글입니다.
그런데 이 글은 乾卦 문언전 서문의 글이니 그 품은 뜻이 적지 않겠죠!
乾元은 시작(始), 근본이면서 만물의 드러남(亨), 雜而著이니 생명의 시작이며 끝입니다.
元亨이 하늘의 原理라 한다면 利貞은 땅이 운영되는 법칙으로 美利에 쓰입니다.
乾의 낳고 낳음(始, 胎), 生生之意는 美利로써 세상(地上)에 펼쳐집니다(能).
元亨 利貞
剛健中正純粹로 6효를 세움은 드러남(精)이며
육효를 발휘하여 방통시켜 그 품은 뜻(情)을 얻을 수 있습니다.
曆, 筮의 펼침, 能은 천하의 平和, 安土를 건설하기 위함입니다.
자! 이 문언전 첫문장을 속깊게 살펴보면 乾은 먼 우주의 乾이 아닙니다.
바로 땅위에 펼쳐진, 내재된, 人乃天된 乾입니다.
周易의 우주觀은 3차원의 전지적 작가 시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가 태양을 돌고 있고, 땅은 둥글다는 실체적 우주관이 아니라,
지상()에 굳건히 발을 딛고 서서 바라보는 우주!!
우주의 겉보기 운동을 觀하고 있습니다.
周易에서 서술하고자 하는 바는,
땅에 내재되어 있는, 만물에 내재 되어 있는, 우리 인간 속에 내재 되어 있는
그 하늘의 속성, 乾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입니다. 周易은 '天下의 事'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周易 全문장의 主語는 坤입니다!!!
[원문해석자료]
☷☷ 坤 元亨利牝馬之貞
君子 有攸往. 先迷後得 主利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 吉
初六 履霜 堅氷至.
六二 直方大 不習 无不利.
六三 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六四 括囊 无咎 无譽.
六五 黃裳 元吉.
上六 龍戰于野 其血玄黃.
用六 利永貞.
彖曰 至哉 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 坤厚載物 德合无疆. 含弘光大品物 咸亨.
牝馬 地類 行地无疆 柔順利貞 君子攸行. 先迷失道 後順得常.
西南得朋 乃與類行. 東北喪朋 乃終有慶. 安貞之吉 應地无疆.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지극하다, 곤(坤)의 원(元)이여 만물이 의뢰하여 생겨난다. 바로 하늘의 조화를 순하게 이어 받아 공을 이루니,만물을 싣고 있는 후한 곤(坤)의 덕은 한없는 건(乾)의 덕과 합하며 포용하고 너그럽고 빛나고 위대하여 만물이 다 형통하다. 암말은 땅과 같이 음(陰)에 속한 부류이니, 땅을 걸어가는 것이 끝이 없으며, 유순하고 이정(利貞)[편하게 여기고 변하는 것이 없는 것]하여 군자(君子)가 행하는 것이다. 앞장을 서면 혼미하여 도(道)를 잃고 뒤를 따르면 도리에 순하여 항상할 수 있을 것이다. 서쪽과 남쪽에서 벗을 얻는다는 것은 동류(同類)와 함께 행하는 것이고, 동쪽과 북쪽에서 벗을 잃는다는 것은 동류를 잃는 셈이 된다 .그러나 결국에는 경사가 있을 것이다. 안정(安貞)이 길한 것은 한이 없는 땅의 도에 응한 것이다”
象曰 地勢坤 君子以 厚德載物.
用六 利永貞.象曰 用六永貞 以大終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지세(地勢)가 곤(坤)의 상(象)이니, 군자(君子)가 보고서 후(厚)한 덕(德)으로 사물을 용납해 준다” “‘육(六)을 쓰는 것은 영구(永久)적이고 정고(貞固)하게 하라’는 것은 끝까지 성대히 하는 것이다”
'周易의 理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전! 64卦] 03-1. 象數, 물상과 경우의 수 (해석體例) (0) | 2017.07.27 |
---|---|
[스크랩] [도전! 64卦] 02-4. 坤卦, 하늘과 땅이 교합하다! (天地玄黃)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2-2. 坤卦, 安土를 꿈꾸다! (핵심어 분석)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2-1. 坤卦, 씨앗(大終)을 맺다! (원문독해)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1-3. 乾卦, 헤쳐 모여! (0) | 2017.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