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漢詩와 書藝 / 즉사(卽事) 이색(李穡)
2013. 1. 9. 11:20ㆍ한시
즉사(卽事) 이색(李穡)
幽居野興老彌淸 유거야흥노미청
恰得新詩眼底生 이득신시안저생
風定餘花猶自落 풍정여화유자락
雲移少雨未全晴 운이소우미전청
墻頭粉蝶別枝去 장두분접별지거
屋角錦鳩深樹鳴 옥각면구심수명
齊物逍遙非我事 제물소요비아사
鏡中形色甚分明 경중형색심분명
들에 숨어 사는 흥취가 늙을수록 더욱 맑아
새로운 시를 쉬이 얻어 그 시가 눈앞에 펼쳐지네
바람이 자도 남은 꽃은 스스로 떨어지고
구름이 날아가도 가랑비는 아직 개지 않는구나
담 위의 나비들은 꽃가지를 떠나가고
집모서리 비둘기는 깊은 숲에서 우는구나
제물과 소요는 본시 내 할 일이 아니지만
거울에 비치는 내 형색은 분명 소요인이 되었구나
[註]제물(齊物)과 소요(逍遙) : 장자(莊子)의 처음 두 편(篇) 이름.
세속적 대소(大小), 물아(物我)를 초월한 달관을 말한다.
이색 [李穡, 1328~1396]
고려 말의 문신·학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정방 폐지, 3년상을 제도화하고, 김구용·정몽주 등과 강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 우왕의 사부였다. 위화도 회군 후 창(昌)을 즉위시켜 이성계를 억제하려 했다. 조선 태조가 한산백에 책봉했으나 사양했다.
출처 : 紫軒流長
글쓴이 : 紫軒 원글보기
메모 :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漢詩와 書藝 / 春曉 - 孟浩然 (0) | 2013.01.09 |
---|---|
[스크랩] 漢詩와 書藝 - 終南別業 終南山 別莊 - 王維 (0) | 2013.01.09 |
[스크랩] 漢詩와 書藝 / 賦得堂前紅梅 - 茶山 丁若鏞 (0) | 2013.01.09 |
[스크랩] 漢詩와 書藝 / 도산월야영매(陶山月夜詠梅) - 退溪 李滉(이황) (0) | 2013.01.09 |
[스크랩] 漢詩와 書藝 / 田園樂六 - 王維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