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크랩) 秋史 金正喜 글씨(1)

2018. 6. 25. 18:07서예가

 

 

秋史 金正喜 글씨

 

 

 

 

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정조 10)1856(철종 7). 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

조선후기 학자·서화가·금석학자(金石學者).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완당(阮堂예당(禮堂). 본관은 경주(慶州).

 

충청남도 예산(禮山) 출생.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박제가(朴齊家)의 인정을 받아 그의 문하생으로서 학문의 기초를 닦았다. 1809년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 수행하여 연경에 체류하면서 옹방강(翁方綱)의 경학(經學금석학(金石學서화(書畵)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16년에 김경연(金敬淵)과 북한산에 있는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를 판독하여 그 전까지의 잘못을 시정하였다. 19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병조참판에 이르렀다. 40년 윤상도(尹商度)의 옥사와 관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어 9년 만에 풀려났고, 51년에는 영의정 권돈인(權敦仁)의 예론(禮論)에 관련되어 함경도 북청(北靑)에 유배되었다가 다음해에 풀려났다. 이후 과천(果川) 관악산 및 선친의 묘역에서 수도하며 여생을 보냈다. 71세를 일기로 18561010일 작고하였다.

그의 서체는 옹방강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초기에는 명나라 동기창(董其昌), 후기에는 송나라 소식(蘇軾)과 당나라의 구양순(歐陽詢)의 서풍(書風)을 본받았다. 그는 역대 명필을 연구하고 그 장점을 모아서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완성하였다. 이 밖에 전각(篆刻)은 청나라와 어깨를 겨누었는데, 별호만큼이나 전각을 많이 하여 서화의 낙관에 사용하였고 추사체가 확립되어감에 따라 독특한 추사각풍(秋史刻風)을 이룩하였다.

저서로는 완당집(阮堂集)》 《금석과안록(金石過眼錄)》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금석과안록(金石過眼錄)》 《완당척독(阮堂尺牘)》 《담연제집(濟集), 작품에는 세한도(歲寒圖)》《묵죽도(墨竹圖)》 《묵란도(墨蘭圖)》 《모질도등이 유명하다.

1819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교, 병조참판 등을 지냈다. 24세에 청나라에 가서 완원, 옹방강, 조강 들과 사귀며 견문과 학식을 넓히고, 고증학과 경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의 학문을 공부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금석학의 연구에 몰두하여, 북한산 순수비를 발견하고 조선에 금석학파를 성립시켰으며, 예술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그림은 시, 서화 일치 사상에 입각한 기법으로 난을 잘 그렸으며,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대팽두부과강채(大烹豆腐瓜薑菜)

고회부처아녀손(高會夫妻兒女孫)

좋은 반찬은 두부 오이 생강 나물,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 손자


이것은 촌 늙은이의 제일가는 즐거움이 된다. 비록 허리춤에 말()만큼 큰 황금인(黃金印)을 차고, 먹는 것이 사방 한길이나 차려지고 시첩(侍妾)이 수백 명 있다 하더라도 능히 이런 맛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행농(杏農)을 위해 쓴다. 칠십일과(七十一果

 

 

 

 

 

 

 

 

 

 

 

 

 

 

 

 

 

 

 

 

 

 

명선(茗禪) : 초의선사가 완당에게 자신이 만든 차를 부쳐왔는데 몽정차나 로아차 못지 않으니 이를 써서 보답한다/명선은 평생을 교유했던 추사 김정희가 차의 명인 초의를 위해 지어준 별호

 

 

 

 

 

 

 

 

 

 

 

 

 

 

 

 

 

 

 

 

 

 

 

 

 

 

 

 

 

 

 

 

 

 

 

 

 

 

 

 

 

 

 

 

 

 

 

 

 

 

 

 

 

 

 

 

 

 

 

 

 

 

 

 

 

 

 

 

 

 

 

 

 

 

 

 

 

 

 

 

 

 

 

 

 

 

 

 

 

 

 

 

 

 

 

 

 

 

 

유애도서겸고기(唯愛圖書兼古器)

차장문자입보리(且將文字入菩提)

오직 도서(圖書)를 사랑하되 고기(古器)도 아울러 하며,

또 문자(文字)를 가지고서 보리(菩提, 大覺)에 든다.

 

 

 

 

 

 

 

 

 

 

 

 

 

 

직성수구(直聲秀句) <122.1×28cm>

직성유궐하(直聲留闕下) 

수구만천동(秀句滿天東)

곧은 리는 대궐 아래 머무르고,

빼어난 구절은 하늘 동쪽(동쪽 우리나라)에 가득하다.

 

 

 

 

 

 

 

 

 

 

 

 

 

 

 

 

 

 

 

 

 

 

 

 

 

 

 

 

 

 

 

 

 

 

 

 

 

 

 

 

 

 

 

 

 

 

 

 

 

 

 

 

 

 

 

 

 

 

 

 

 

 

 

 

 

 

 

 

 

 

 

 

 

 

 

 

 

 

 

 

 

 

 

 

 

 

 

 

 

 

 

 

 

 

 

 

 

 

 

 

 

 

 

 

 

 

 

 

 

 

 

 

 

 

 

 

 

 

 

 

 

 

 

 

 

 

 

 

 

 

 

 

 

 

 

 

 

 

 

 

 

 

 

 

 

 

 

 

 

 

 

화법서세(畵法書勢) <129.3×30.8cm> 

화법유장강만리(畵法有長江萬里)

서세여고송일지(書勢如孤松一枝) 

화법(畵法)에는 장강(長江) 만리(萬里)가 들어 있고, 

서세(書勢)는 외로운 소나무 한 가지와 같다.

 

 

 

 

 

 

 

 

 

 

 

 

 

 

 

 

 

 

 

 

 

 

 

 

 

 

 

 

 

 

 

 

 

 

 

 

 

 

 

 

 

 

 

 

 

 

 

 

 

 

 

 

 

 

 

 

 

 

 

 

 

 

 

 

 

 

 

 

 

 

 

 

 

 

 

 

 

 

 

 

 

 

 

 

 

 

 

 

 

 

 

 

 

 

 

 

 

 

 

 

 

 

 

 

 

 

 

 

 

 

 

 

 

 

 

 

 

 

 

 

 

 

 

 

 

 

 

 

 

 

梣溪(尹定鉉: 1793-1874)


以此二字轉承疋囑 欲以隸寫 而漢碑無第一字

不敢妄作 在心不忘者 今已三十年矣

近頗多讀北朝金石 皆以楷隸合體書之

隋唐來陳思王 孟法師諸碑 又其尤者

仍倣其意 寫就 今可以報命 而快酬夙志也

阮堂幷書

 이 두 글자를 사람을 통해 부탁받고 예서로 쓰고자 했으나 한비에 첫째 글자가 없어서

감히 함부로 쓰지 못해 마음속에 두고 잊지 못한 것이 지금 이미 삼십 년이 되었다.

 요새 자못 북조 금석문을 많이 읽었기에 모두 해서와 예서의 합체로 썼다.

 수당 이래의 진사왕이나 맹법사비와 같은 여러 비석들은 또한 그것이 더욱 뛰어난 것이다.

그대로 그 뜻을 모방하여 썼으니 이제야 부탁을 들어 쾌히 오래 묵혔던 뜻을 갚을 수가 있게 되었다.

완당이 짓고 쓰다.

 

 

 

 

 

 

 

  

                                                                                                         2편에 계속 

출처 : 청 산 별 곡
글쓴이 : 竹史 김병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