望岳 - 杜甫
2019. 2. 15. 10:57ㆍ한시
망악(望岳)-두보(杜甫;712-770)
대종산을 바라보며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대종산은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나라와 초나라로 이어져 끝없이 푸르구나
造化鐘神秀(조화종신수), ;천지에 신령함 여기에 다 모이고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음지와 양지로 어둠과 밝음이 갈라지는구나
湯胸生層雲(탕흉생층운), ;가슴을 씻어내며 층계구름 솟아오르고
決眥入歸鳥(결자입귀조), ;새들은 입 벌리고 둥지로 날아드는구나
會當凌絶頂(회당능절정), ;언젠가 꼭 정상에 올라
一覽衆山小(일람중산소). ;뭇 산이 작음을 한눈에 굽어보리라
008
태산을 바라보며
태산은
어떠한고?
제나라와 노나라에
푸르름이 이어지고
하늘 땅
신령함은 여기 다 모으고
양지쪽과 음지쪽
밝고 어둠 갈랐구나.
가슴을 활짝 열면
층계 구름 일어나고
두 눈을 부릅뜨면
가는 새들 들어온다.
언젠가 반드시
정상에 올라
뭇 산들의 작은 모습
굽어보리라.
[蛇足]
735년 24세 때 진사 시험에 낙방 후 재기를 다짐한 시다.
그후 8-9년간 곤주사마였던 부친을 따라 산둥에 가서 이백, 고적(高適) 등과 함께
자연을 즐기고 시를 읊으며 친교를 돈독히 했다.
751년, 《삼대예부》를 조정에 바쳐 인정을 받아,
755년 10월에 우위솔부 주조참군의 벼슬에 오른 것이 첫 벼슬인 걸 보면
그의 생애에 과거급제 기록은 없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백,고적,맹교의 시 (0) | 2019.02.15 |
---|---|
李白 行路難 (0) | 2019.02.15 |
登鸛雀樓 (0) | 2019.02.15 |
유종원(柳宗元;773-819) 시 (0) | 2019.02.08 |
梅詩 (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