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7. 27. 18:05ㆍ周易의 理解
(1) 10天干으로 數 인식하기
오늘은 10干 12支에 숨어있는 신기하고 재미있는 숫자의 기본 규칙을 살펴보자.
10 天干은 5씩 나뉜다. 10干은 10진법이면서 동시에 5진법이다.
甲(乙丙丁戊) 己(庚辛壬癸)는 甲(乙丙丁戊) 甲(乙丙丁戊)으로 치환될 수 있다는 뜻이다.
干의 數 규칙에서 干合과 剋오행과의 관계를 통해 숫자를 쉽게 셈할 수 있다.
干合이 되는 천간은 숫자 6이 된다.
내가 극하는 천간는 5이고, 내가 극을 당하는 천간은 7이다.
10天干으로는 5/6/7/10의 숫자를 빠르게 셈할 수 있다.
(2) 12地支로 數 인식하기
12地支은 1/3/4/6/12 의 약수값을 갖는다.
地支의 삼합(三合 - 4數)오행은 특별한 달력의 규칙을 헤아리는데 용이하다.
1년은 365일과 1/4일 이다. 4년마다 이 짜투리 시간들이 모여 1일이 만들어지는데,
60갑자년 중에 申子辰 삼합이 되는 해마다(2월, 태양력)에 하루씩이 보태어져 366일이 된다.
달력의 규칙은 우리에게 익숙하니 설명이 필요하지 않겠지만,
확인차원에서 더듬어 보자.
1월(31) / 2월(28)(29) / 3월(31) / 4월(30) / 5월(31) / 6월(30)
7월(31) / 8월(31) / 9월(30) / 10월(31) / 11월(30) / 12월(31) ... 合 1년 365일
申子辰 三合은 이렇게 4년마다 <1일>이 추가되는 해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
12支 각 글자에서 삼합 법칙을 이용해 4數를 헤아려 갈 수 있다.
12支의 삼합으로는 4, 8, 12로의 수셈 이동이 용이하다.
12支의 沖관계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7번째(克) 地支이다.
子에서 午는 7번째 支고, 卯에서 酉도 7번째의 支이다. 支의 沖은 숫자 7이다.
六合의 관계도 숫자로 인식해 보자. (順行으로)
子에서 丑까지는 숫자 2
丑에서 子까지는 숫자 12
寅에서 亥까지는 숫자 10
亥에서 寅까지는 숫자 4
卯에서 戌까지는 숫자 8
戌에서 卯까지는 숫자 6
辰에서 酉까지는 숫자 6
酉에서 辰까지는 숫자 8
巳에서 申까지는 숫자 4
申에서 巳까지는 숫자 10
午에서 未까지는 숫자 2
未에서 午까지는 숫자 12
(자료) 오운육기의 추산법 http://blog.daum.net/pulsup/914
이 오운육기법의 활용에서 임신을 위해 입태일을 추산하는 계산법에 쓰인다.
이러한 육합數는 조금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地支의 六合관계는 干支로써 우주의 <생명운동> 을 헤아리는 기본규칙이므로
10干 12支 數 셈법의 신비한 매력을 엿볼 수 있다.
(3) '월간'과 '시간' 의 干支값 (월두법/시두법)
1년 12개월
1일 12시간
甲의 주기는 5년, 12*5=60 個月 / 5년 : 1월(甲子) ...................60월(癸亥)
己의 주기는 5년, 12*5=60 個月 / 5년 : 1월(甲子) ...................60월(癸亥)
乙의 주기는 5년, 12*5=60 個月 / 5년 : 1월(丙子) ...................60월(乙亥)
庚의 주기는 5년, 12*5=60 個月 / 5년 : 1월(丙子) ...................60월(乙亥)
甲(乙丙丁戊) 己(庚辛壬癸) 와
甲(乙丙丁戊) 甲(乙丙丁戊) 는 같은 값이다.
乙(丙丁戊甲) 庚(辛壬癸己) 와
乙(丙丁戊甲) 乙(丙丁戊己) 는 같은 값이다. 干合數는 5진법 數 셈법이다.
년(1)과 월(12)와의 관계는 5*12=60일의 주기가 반복되므로
甲(己)년의 子월은 항상 甲子월,
乙(庚)년의 子월은 항상 丙子월,
丙(辛)년의 子월은 항상 戊子월..... 로 일정한 干支값을 갖게 된다.
여기서 우리가 꼭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은,
干合(부부오행)은 甲set(5) 己set(10) 甲set(5) 己set(10)의 5진법의 규칙이며,
또, 甲(1), 乙(2), 丙(3)..... 己(6).... 으로, 간합의 數는 6이다.
그러나 이런 수체계의 셈법을 감안하더라도, 생명의 분수령이 되는 辰月(곡우)에 天干의 合오행이 배정되어 있음은 정말 신기하기만 하다. 또한 6數는 생명의 육각형 프랙탈의 數이다. 이 60갑자의 력법(曆法)은 오늘날 숫자만 나열되어 있는 우리네 달력과는 질적으로 품격이 다르다. 매우 다양한 우주법칙 정보가 한눈에 펼쳐져 보여지고 있다. 이렇게 문명은 앞으로만 전진하지 않는 모양이다.
★ 오자원기법(五子元起法)
甲己還加甲
乙庚丙作初
丙辛從戊起
丁壬庚子居
戊癸何方是
壬子是眞圖
사주학에서 시간을 취용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갑기일에는 갑자시에서 일어나고, 을경일에는 병자시에서 일어난다.
(4) 출생일진과 입태일수 (干支 合德)
사람은 처음 기를 받을 때에 9일에 음양이 정해지고,
49일째 태가 생긴후 7일에 한번씩 변한다.
306일.296일이 되면 上器
286일.266일이 되면 中器
256일.246일이 되면 下器 이다. (동의보감 身形)
子午일생 (276일-90일)
卯酉일생 (246일-120일 또는 306일-60일)
丑未일생 (266일-100일)
辰戌일생 (296일-70일)
寅申일생 (256일-110일)
巳亥일생 (286일-80일)
* 입태일진 산출법 : 天干合, 地支六合으로 찾는다.
생명탄생의 법칙(오운육기)을 이용하여 입태일을 계산하는 방법인데, 産과 彦의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재덕이 뛰어난 인재(彦)를 얻기 위한 합궁날을 계산하는 요령이 되겠다. 좋은 날 입태된 생명은 결과적으로 좋은 命運(출산일)을 얻어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명의 탄생은 天地의 合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니 <입태일>과 <출산일>의 干支는 서로 干合과 六合으로 일치를 이룬다.
306일.296일이 되면 上器
寅에서 亥까지는 숫자 10
申에서 巳까지는 숫자 10 ....... 卯酉일생 (306일 上器 - 60일 / 246일下器 -120일)
戌에서 卯까지는 숫자 6
辰에서 酉까지는 숫자 6 ....... 辰戌일생 (296일 / -70일)
286일.266일이 되면 中器
亥에서 寅까지는 숫자 4
巳에서 申까지는 숫자 4 ....... 巳亥일생 (286일 / -80일)
丑에서 子까지는 숫자 12
未에서 午까지는 숫자 12 ....... 丑未일생 (266일-100일)
子에서 丑까지는 숫자 2
午에서 未까지는 숫자 2 ....... 子午일생 (276일/ -90일)
여기서 사용된 天干 數는 부부오행의 數 6이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태아의 입태일수는 干數 10으로 나누어 나머지 값이 6이다.
여기에 地支의 數는 六合의 數가 쓰였다.
입태 日數를 12支 數로 나눈 나머지 값이 육합의 數로 이루어져 있다.
생명의 값에 上.中.下 품계를 나눈 것이 특이하다.
그런데 上品의 입태일수는 모태에서 10개월을 가득 채워서 태어났으니
육체적으로 실하다는 말이다.
卯酉일에 태어난 아이가 下品으로 분류된 것은
태속에서 246일만에 태어난 6삭동이의 아이의 상태를 짐작케 한다.
당연하다, 건강한 육체로 태어나야 살아가는 인생도 편안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계산법은 운명론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건강론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天命으로 장난치면 큰일 난다.
(4) 사주의 일진 추산법
일진(日辰)을 추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일진까지 직접 헤아리자 들면 사주의 干支값을 추산하기도 전에 날이 샐것이므로 실제적으로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만세력을 찾기도 귀찮으면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핸폰 어플로 손쉽게 사주의 干支값을 얻을 수 있으니 당췌 실용성은 떨어지지만, 60甲子의 규칙을 더 가깝게 이해하고 친해지자는 의미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위의 <일진 추산표>에는 매년 1.1일이 되는 干支값을 정리했다. 년의 干支값이 그러하듯이 매년 日의 기준이 되는 干支의 값은 암기하고 있어야 하겠지만, 그도 쉬운 일이 아니니 표에 정리된 매년 양력 1월1일의 값을 기준으로 태어난 날의 일진값을 헤아려가면 되겠다.
1. 1년은 365일과 1/4일이므로 4년마다 1일씩이 늘어난다.
支의 값이 申子辰이 되는 년은 366일이 되며 2월달(28일)에 하루가 더해져서 29일이 된다.
申.子.辰년의 다음해부터 4년은 365일로 동일한 값을 갖는다.
(주황색 원과 화살표에서 살펴보면 4년마다 庚 ☞ 辛 ☞ 壬... 으로 干값이 변한다)
2. 4년동안 甲己甲己 / 乙庚乙庚으로 부부干合의 값으로 반복 변동하는 까닭은
1년은 365일이므로 60數로 나눈 나머지값 5數의 변화가 있기 때문이다.
3. 4년에 1일씩 불어나면 20년마다 5일씩 불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매년 1월1일의 天干의 값은 20년마다 甲己甲己 / 丁壬丁壬 값을 반복한다.
4. 1967년 5월 21일생 巳時의 女命일 경우 (丁未년 / 乙丑일 -1.1 )
60간지 추산표에서 丁未년 찾고
5월은 巳에 월두법으로 丁壬合 甲(辰月) -> 乙(巳月) 찾고
21일생은 1967년의 1월1일(乙丑)부터 헤아리기
1월 31
2월 28
3월 31
4월 30 120일..... 60으로 나누어서 나머지 값은 0
5월 21일 ..... 21일은 干10으로 나눈 나머지 값 1 = 乙(1)
支12으로 나눈 나머지 값 9= 丑(1) 寅(2) 卯(3)..... 酉(9)
乙(1)
酉(9)에서 巳時의 時干은 乙庚합 庚(辰時) -> 辛(巳時)를 추산하여
丁未년 / 乙巳월 / 乙酉일 / 辛巳時를 추산해 낸다.
5. 1977년 7월 23일생 午時 男命 (丁巳년 / 戊午일-1.1)
未월, 丁未월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1월 31 (1)
2월 28 (-2) 申子辰년이 아님, 1년 365일
3월 31 (1)
4월 30 (0)
5월 31 (1)
6월 30 (0) .... 180+1
7월 23일+ 1 = 24일 干(4) .... 戊(1)己庚辛(4) / 支(12로 나눈 나머지값 0) 巳(0) 午(1)
丁巳년 / 丁未월 / 辛巳일 / 甲午時
실제적으로 계산해 보면 의외로 그렇게 복잡하지 않다.
거의 2개월에 60일씩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나머지 숫자 (0)(1)의 합과
태어난 달의 날수를 덧셈하여, 干은 10으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헤아리고,
支는 12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헤아리게 되므로 매우 손쉽게 日辰값을 구할 수 있다.
6. 대운數구하기
대운수는 입절일을 기준으로 한다.
보통 1월~6월까지 상반기의 入節日은 평균 5일, 7월~12월까지의 入節日은 평균 7일이다.
陽男陰女 : 태어난날 이후로 ---- 순행 ----> 입절일
陰男陽女 : 입접일 <---- 역행 ---- 태어난날 이전으로
1967년 5월 21일생 巳時 女命 (丁未년 / 乙丑일 -1.1) 순행
1977년 7월 23일생 午時 男命 (丁巳년 / 戊午일 -1.1) 역행
5월21일은 입절일 5일, 음녀, 순행
5.21(태어난 날) -----순행 (3/16일 .... 대운수 5) ------>6.5(입절일)
7월 23일은 입절일 7일, 음남, 역행
7.7(입절일) <------- 역행( 3/16일 .... 대운수 5 ) ----- 7.23(태어난 날)
曆은 우주의 易法, 우주변화의 원리로 부터 추산된다.
그러므로 曆法은 易法이며 우주를 바라보는 觀이다. 곧 우리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첨성대(瞻星臺)와 같은 靈臺는 천문을 관찰하는 壇인데,
이러한 구조물은 단순히 밤하늘을 관찰하는 실용적인 건축물의 의미를 뛰어넘는다.
그곳은 하늘 北斗와 소통하는 지상의 우물이자, 배꼽이며, 생명의 근원지이다.
<하늘과의 소통>에 대한 특별한 동영상 자료가 있어서 소개한다.
19세기말의 이 땅은, 서구 열강들의 각축장이 되었던 가장 힘겹던 시대였다.
그 힘겨웠던 시대를 견뎌냈어야 했던 조선의 마지막 군주 고종황제,
그가 좌절하지 않고 바로 세우려 했던 가슴뭉클한 <시대정신>을 만나보시기 바란다.
'周易의 理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전! 64卦] 11-1. 장자의 호접몽 (1) (0) | 2017.07.27 |
---|---|
[스크랩] [도전! 64卦] 10. 주역의 終始를 접어라!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8. 정확하게 시간을 헤아리는 방법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7-2. 엇박자! 하늘의 별지도와 땅의 시간 (0)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7-1. 하늘지도를 거울(鑑)에 비춰보다 (0) | 2017.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