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다석 유영모의 늙은이(道德經) 풀이(2)

2016. 7. 21. 17:02한문기초書

다석 유영모의 늙은이 풀이(2)


늙은이 2

 

세상이 이쁜 걸 이뻐하기는 다 알지만(天下皆知美之爲美),

그게 몹쓸 것만이고(斯惡已),

착한 게 착하다고는 다 알지만(皆知善之爲善),

그게 착하지 못하기만 하다(斯不善已),

므로 있단 없고, 없단 있어 번갈며(故有無相生),

쉽고 어려움이 되돌고(難易相成),

긴 이, 짧은 이가 서로 견줌(長短相較),

높은 덴 아래로 기웃, 아래선 높은 데를 흘깃(高下相傾),

소리와 울림이 마주 어울림(音聲相和).

앞은 위 따라, 뒤는 앞 따름(前後相隨).

아래서 썻어난 이는 하잡 없이 일을 봐내고(是以聖人處無爲之事),

말 않고 가르쳐 (온대로) 간다(行不言之敎).

잘몬이 이는데 말라지 않고(萬物作焉而不辭),

낳나, 가지지 않고(生而不有),

하고, 저를 믿으라 아니하며(爲而不恃),

일 이룬 데 붙어 있지 않는다(功成而弗居).

그저 붙어 있지 않기로만(夫唯弗居),

그래서 떨어져 가지는 않는다(是以不去).

 

 

<풀어 씀>

썻어난 이: 위로부터 온 얼에 마음이 씻겨진 사람을 다석은 성인(成人)이라고 하였다.

잘몬: 잘은 만(), 몬은 물질(物質)을 뜻하는 순수 한글이다.

(): 믿을 시, 의지할 시.

 

있음()과 없음()이 서로 같이 나타나는 것이요(相生). 혼돈()과 고요()가 서로 만들어지는 것이요(相成). 길고() 짧은() 것이 같은 모양이요(相形). 높고() 낮음()이 같은 위치요(相傾). 소리()와 노래()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요(相和). ()과 뒤()가 같은 자리(相隨)이다. 상대와 절대개념의 문제를 극복하고 마음의 균형을 이룬 성인(聖人)은 무위(無爲)로 사는 신비를 잘 표현한 글이다. 주관과 객관, 너와 나가 하나가 되는 상태에서는 유무(有無)가 하나이다. 태극이 무극이 되고 무극이 태극이 되는 자리이다. 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가 되는 깨달음의 경지에서 사물을 보는 이해이다. ‘몸의 나자아’(自我, ego)를 극복하고 얼의 나얼나로 솟아나 솟나가 된 사람, 위로부터 온 얼에 마음이 씻겨진 성인(成人)은 무위(無爲)로서 그러하게 산다는 일종의 게송(偈頌).

 

그러나 사람들은 있음과 없음, 혼돈과 고요, 선한 것과 악한 것, 아름다움과 추함, 길고 짧은 것, 높고 낮음, 앞과 뒷, 소리와 노래를 비교하고 분별한다. 이것저것을 따지고 나누고 구분하는 것은 상대적인 세계에서 하는 일이다. 상대세계에서는 어떤 것에 비교하느냐에 따라 개념이 달라진다. 길다는 것도 더 긴과 비교하면, 길었다고 말했던 것은 짧은 것이 된다. 예쁜 사람도 더 예쁜 사람이 나타나면 덜 예쁜 사람이 된다. 조금 전만 해도 예뻤던 사람이 안 예쁜 사람이 된다. 이렇게 늘 변화하는 상대세계에서는 비교되는 것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그러나 유()와 무()가 하나이고, 태극과 무극이 하나인 절대세계에서는 변하지 않는다. 서구의 부정신학의 영성에서는 무지의 구름’(unknowing cloud)을 넘어 하느님과 하나가 되는 사람을 신비주의자라고 한다. 천인합일(天人合一, union with God)하여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리스도처럼 사는 사람인 ‘mystic’을 신비주의자라고 번역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신비(神秘) 라는 말은 변화무쌍한 일, 묘하고 비밀로 감추어진 그 무엇이라 생각하는데, 영성신학에서 말하는 신비는 그러한 뜻이 아니다. 하느님과 하나가 되어 사는 사람을 말한다. 다석의 표현에 의하면, 내가 하느님 안에 하느님이 내 안에 있는 상태가 곧 하느님 자리인 절대세계에 손가락을 꼭 댄 것이라고 한다. 다석은 하느님의 자리에 손가락으로 꼭 댄 곳을 꼭대기라고 하였고, 하느님은 맨 위의 절대세계에 계시므로 그곳을 맨 꼭대기이라고 하였다.

 

 

James Legge()

 

2

All in the world know the beauty of the beautiful, and in doing

this they have (the idea of) what ugliness is; they all know the skill

of the skilful, and in doing this they have (the idea of) what the

want of skill is.

 

So it is that existence and non-existence give birth the one to

(the idea of) the other; that difficulty and ease produce the one (the

idea of) the other; that length and shortness fashion out the one the

figure of the other; that (the ideas of) height and lowness arise from

the contrast of the one with the other; that the musical notes and

tones become harmonious through the relation of one with another; and

that being before and behind give the idea of one following another.

 

Therefore the sage manages affairs without doing anything, and

conveys his instructions without the use of speech.

 

All things spring up, and there is not one which declines to show

itself; they grow, and there is no claim made for their ownership;

they go through their processes, and there is no expectation (of a

reward for the results). The work is accomplished, and there is no

resting in it (as an achievement).

 

The work is done, but how no one can see;

'Tis this that makes the power not cease to be.

 

 

 

John C. H. Wu(吳經熊 )

 

2.

WHEN all the world recognises beauty as beauty, this in itself is ugliness.

When all the world recognises good as good, this in itself is evil.

 

Indeed, the hidden and the manifest give birth to each other.

Difficult and easy complement each other.

Long and short exhibit each other.

High and low set measure to each other.

Voice and sound harmonize each other.

Back and front follow each other.

 

Therefore, the Sage manages his affairs without ado,

And spreads his teaching without talking.

He denies nothing to the teeming things.

He rears them, but lays no claim to them.

He does his work, but sets no store by it.

He accomplishes his task, but does not dwell upon it.

 

And yet it is just because he does not dwell on it

That nobody can ever take it away from him.









 

출처 : 동양적 사고로 신학하기
글쓴이 : 그러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