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 이백
장진주(將進酒)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君不見
황하의 저 물 천상에서 내려와 黃河之水天上來
세차게 흘러 바다에 곧 이르면 돌아오지 않음을! 奔流到海不復回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君不見
고귀한 집 속 밝은 거울을 대하고 백발을 슬퍼함을! 高堂明鏡悲白髮
아침에 푸른 실 같던 머리카락 저녁 되니 어느덧 흰 눈이어라. 朝如靑絲暮成雪
인생 마음대로 할 수 있을 때 모름지기 즐길 것이니 人生得意須盡歡
황금 술통을 달빛 아래 그대로 두지 말라. 莫使金樽空對月
하늘이 이 몸을 낳으셨으매 반드시 쓰일 곳 있음이려니 天生我材必有用
천금은 다 써 흩어져도 다시 생기는 것. 千金散盡還復來
양을 삶고 소를 잡아 즐길 것이니 烹羊宰牛且爲樂
한 번에 삼백 잔은 마셔야지. 會須一飮三百杯
잠부자, 岑夫子
단구생이여! 丹丘生
술잔을 권하노니 그대는 사양하지 말라. 將進酒杯莫停
내 노래 한 곡조 부를 테니 與君歌一曲
그대들은 나를 위해 귀 기울여 들어나 보게. 請君爲我側耳聽
풍악과 맛나는 음식은 귀할 것 없고 鐘鼓饌玉不足貴
원하는 것은 길이 취해 깨어나지 않는 일. 但願長醉不願醒
고래로 모든 성현들은 다들 사라져 없고 古來聖賢皆寂寞
술꾼만이 그 이름을 남겼지. 惟有飮者留其名
진왕(陳王)은 그 옛날 평락관에서 연회를 열 때 陳王昔時宴平樂
한 말에 만 전 술로 즐기었나니 斗酒十千恣歡謔
주인이여, 어찌하여 돈이 모자란다고 하는가. 主人何爲言少錢
곧장 술을 사다가 함께 마실 일. 徑須沽取對君酌
오화마, 五花馬
천금구가 있다네. 千金裘
아이를 불러 시켜 좋은 술과 바꾸게 하여 呼兒將出換美酒
그대와 함께 만고의 이 시름 잊어 보리라. 與爾同銷萬古愁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D9B34545DC30F27)
시를 말하다
문태준 l 시인
이백의 시는 활달하고 호방한 풍격(風格)을 자랑한다. 중국의 고전 시가를 사랑하고 좋아했던 에즈라 파운드가 이백의 시 13수를 영역(英譯)하고 분석한 것은 그가 이백의 시의 자유분방한 기질에 크게 매료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백의 시는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은 까닭에 선계(仙界)를 노래하는 유선시(遊仙詩)의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왜 산에 사느냐기에/ 그저 빙긋이 웃을 수밖에./ 복사꽃 물길 따라 아득히 흘러가고/ 여기가 바로 별천지, 속세를 떠났도다.(問余何事栖碧山 笑而不答心自閑 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라고 노래한 시 '산중문답(山中問答)'은 유연하고 한가한 심경을 노래하는데, 스스로 한가한 이 흥취는 그가 세상의 이속(里俗)과 명리를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산중문답' 등 얽매임이 적고 초탈적 심사가 드러나는 시들을 읽어 볼 때 하지장(賀知章)이 이백을 '하늘에서 귀양 온 신선'이란 뜻의 '적선(謫仙)'이라 칭하고, 허리에 두르고 있던 금구(金龜)를 팔아 흔쾌히 술을 대접했다는 일화는 이해되고도 남음이 있다. ▶중국 남송 때의 화가 양해가 그린 이백, 13세기
이백의 시에 흔하게 등장하는 소재는 '술'이다. 그의 시에서 '술'은 세상의 근심을 잊게 해주는 것으로서 표현된다. 그렇다면 그의 근심은 어디로부터 생겨나는 것일까. 그는 세월이 흐르는 물처럼 신속하고 인생은 봄꿈과도 같이 짧아 허망한 마음의 상태를 억누를 수 없다고 자탄한다. 시 '봄날 취했다가 일어나서(春日醉起言志)'에서 "한세상 꿈과 같은 것이어늘,/ 어이 그 삶을 노고스럽게 하리오?/ 종일을 취하여,/ 휘청거리며 앞마루 난간에 기대어 눕도다.(處世若大夢 胡爲勞其生 所以終日醉 頹然臥前楹)"라고 썼듯이. "둘이서 마시노라니 산에는 꽃도 피었어라./ 한 잔 한 잔 기울이면 끝없는 한 잔./ 취해 나는 이만 자려니 그대는 돌아가시게./ 내일 아침 술 생각나거든 거문고 안고 오게나.(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 我醉慾眠卿且去 明朝有意抱琴來)"(‘산중에서 속세 떠나 사는 이와 술을 마시며(山中與幽人對酌))'나, 대작할 이 없어 밝은 달, 자신의 몸 그림자와 더불어 만취한 일을 낭만적 시흥으로 풀어낸 '달빛 아래 홀로 술잔 기울이며(月下獨酌)' 등의 시는 '술'을 제재로 노래한 이백의 시 가운데 가편으로 손꼽을 수 있다.
시 '술을 권하며(將進酒)'는 이백의 시 가운데서도 명편에 속하지만 어느 때에 창작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관리로서의 길을 가고자 했으나 구관(求官)이 성사되지 않아 술병을 끼고 지내던 737년 무렵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오균(吳筠)과 하지장의 도움을 받아 현종의 부름을 받고 한림원(翰林院)에서 궁중 생활을 했으나 만취로 인한 주정과 기행으로 관료사회의 반감을 사 결국 궁을 떠나야 했던 744년 무렵에 창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 시가 어느 때에 창작되었든지 간에 정치적인 소신을 펴려 했던 이백의 계획이 좌절된 데서 생겨난 울분의 정서가 깔려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이백이 비록 많은 유선시를 짓기도 했지만 그에게도 세속적 야심이 전무했던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구관을 위해 심지어 검술을 익히기도 했고, 안사의 난(안녹산의 난) 당시에는 영왕(永王) 편에 가담해 막료로 기용되었으나 영왕이 숙종에게 패하여 살해되면서 그 또한 역모자로 몰려 죽임을 당할 고비를 가까스로 넘기기도 했으니 말이다.
이 시에서도 시인은 인생의 무상함을 음주를 통해 달래고자 한다. 황하의 물이 흘러내려 바다에 이르러선 돌아오지 않는 것처럼 인생의 시간은 지나가면 다시 되돌릴 수 없으며, 그 급히 지나감은 불과 아침과 저녁 사이만큼 순식간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 번에 삼백 잔(一飮三百杯)"이라는 표현은 후한의 대학자 정현(鄭玄)이 전별을 받는 자리에서 삼백여 명으로부터 일일이 술잔을 다 받아냈다는 옛일에서 따온 것이고, "한 말에 만 전(斗酒十千)"이라는 표현은 조식(曹植)의 명도편(名都篇)의 "돌아와서 평락관에서 연회를 베푸니 맛있는 술의 값이 한 말에 만 냥이더라(歸來宴平樂 美酒斗十千)"라고 한 것을 차용한 것이다. 한 번 술을 마실 적에 삼백 잔을 들이켜는가 하면 만 전짜리 술을 주고받으며 기꺼이 취한다는 다소 과장된 표현은 그만큼 인생사의 덧없음과 그로 인한 슬픔이 억눌러 감춰 둘 수 없을 정도로 넘쳐난다는 속마음을 슬며시 담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자신의 지인인 잠부자와 단구생에게 술을 권하면서 다섯 가지 빛깔의 털을 지닌 아름다운 말인 오화마(五花馬)와 여우가죽으로 만든 값비싼 옷인 천금구(千金裘)를 내다 팔아 질탕한 음주를 즐기려 하는 앞뒤 사정과 까닭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겠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F9238545DC33315)
이백이 후세에 남긴 유일한 필적인 ‘상양대첩(上陽臺帖)’. 이 시는 744년 이백이 낙양에서 두보와 고적을 만나 황하를 건너 제원의 양대궁에 있는 은사 사마승정(司馬承禎)을 만나러 갔으나 9년 전 죽어 없고 그가 그린 벽화만 남아 있어 그 벽화를 보고 회포를 읊은 것이다. 山高水長 物象千萬 非有老筆 清壯可窮 十八日 上陽臺書 太白(산은 높고 물은 길어 천만가지 형상들 늙은이의 필력이 아니니 맑고 장대함이 가히 궁극에 이르렀구나 18일 양대에 올라 쓰다 이백). _라라와복래
이백의 시는 천의무봉에 견주어지곤 한다. 꿰매거나 덧댄 흔적이 없다. 실로 이백의 시를 읽으면 자연스럽고도 저절로 쏟아져 나온 듯한 느낌을 받는다. 현종의 부름을 받고 궁중 생활을 하던 어느 날 대취한 상태로 사람들의 부축을 받으며 단숨에 거침없이 썼다는 궁중행락사(宮中行樂詞) 8수도 그렇고, 남국(南國)인 월(越)의 풍속과 남녀 간의 연정을 다룬 월녀사(越女詞) 연작 시편도 그렇다. 특히 월녀사 연작 가운데 '월녀사 1'은 단연 일품이다. "장간에 사는 오나라 여인들은/ 눈이며 눈썹이며 별인 듯 달인 듯/ 나막신 신은 서리같이 흰 발에는/ 맵시 있는 버선도 안 걸치고(長干吳兒女 眉目艶星月 屐上足如霜 不莡鴉頭襪)"라고 썼는데, 눈과 눈썹은 별의 반짝이는 빛과 초승달의 흰빛에 빗대어지고 버선을 신지 않은 차갑고 고운 백옥의 발은 서리의 흰빛에 투사되고 있다. 가히 재기가 빛나는 탁월한 감각적 수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칼을 빼어 물을 베어도 물은 다시 흐른다(抽刀斷水水更流)"고 이백은 썼고, 그 또한 62세의 나이로 이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천재적 역량으로 호협하게 써 내려간 대작들은 세월에 쓸려 흘러감이 없이 오늘에도 온전히 남아 깊은 감동을 안겨 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11DC38545DC37D14)
이백(李白, 701-762)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추앙되며 시선(詩仙)으로 불린다.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청소년 시절에는 독서와 검술에 정진하고, 때로는 유협(遊俠)의 무리들과 어울리기도 하였다. 젊어서 도교에 심취했던 그는 산중에 지내는 등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녔다. 이백의 생애는 방랑으로 시작하여 방랑으로 끝났다. 맹호연(孟浩然), 원단구(元丹邱), 두보 등 많은 시인과 교류하며, 그의 발자취는 중국 각지에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이다. 후에 출사(出仕)하였으나 안사의 난으로 유배되는 등 불우한 만년을 보냈다. 칠언절구에 특히 뛰어났으며, 이별과 자연을 제재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산중문답(山中問答)’ 등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하며, 시문집에 <이태백 시집> 30권이 있다.
글 문태준 1994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그늘의 발달>, 산문집 <느림보 마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