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 21. 08:56ㆍ한시
* 一自平生道(일자평생도)-寒山(한산) : 平生토록 道를즐김.
自樂平生道 (자락평생도) 평생토록 스스로 도를 즐기면서
煙蘿石洞間 (연라석동간) 안개와 담장이넝쿨 덮인 동굴에서 사노라
野情多放曠 (야정다방광) 질박한 마음은 거칠것이 없고
長伴白雲閑 (장반백운한) 흰 구름 벗 삼으니 늘 한가하더라
有路不通世 (유로불통세) 길은 있어도 세속과 통하지 않고
無心孰可攀 (무심숙가반) 사심 없으니 어디를 더 오르랴
石床孤夜坐 (석상고야좌) 이밤 홀로 바위에 앉아 있으니
圓月上寒山 (원월상한산) 둥근 달은 한산위에 떠 올랐어라.
*(蘿=담장이넝쿨라. 曠=밝을광. 孰=누구숙. 攀=당길반.)
* 척약제(金九容)선생시
滿空蒼翠雨霏微(만공창취우비미) 푸른 빛은 허공에 가득하고 보슬비는 내리는데
喜見雲間獨鶴歸(희견운간독학귀) 구름 사이로 홀로 날아가는 학을보며 즐거워 하네
莫怪登樓消永日(막괴등루소영일) 누각에 올라 하루종일 보내도 쓸쓸하지는 않구나
煮茶聲裏坐忘機(자다성리좌망기) 차 끓이는 소리들으며 세상사를 모두 잊는다.
* 花塢(화오)-吳洵(오순)-꽃피는 언덕-
披書獨坐百花林(피서독좌백화림) : 책을 펴 혼자 앉았으니, 온갖 꽃들의 숲
魏紫姚黃淺復深(위자요황천복심) : 위자와 요황, 그 빛깔이 옅고도 깊다
讀了塵編欲吟賞(독요진편욕음상) : 먼지 낀 책을 읽고, 시 지어 완상하려니
風吹紅雨滿衣襟(풍취홍우만의금) : 바람이 불어와, 붉은 꽃비 옷깃에 가득 차네.
* 養村先生詩
吾宗積德衆皆言 (오종적덕중개언) 나의선조는 덕을 쌓았다고 다들 말 하는데
世美相望具達尊 (세미상망구달존) 천하에 훌륭한 분이라고 존경함이 끝이 없다
莫患早年功未樹 (막환조년공미수) 일찍 공을 세우지 못 했다고 근심하지 마라
澗松合翠自深根 (간송합취자심근) 소나무가 계곡을 덮어 푸르면 뿌리도 깊어지니라.
* 적멸암(寂滅庵)-석경운(釋慶雲)-적멸암-석경운(釋慶雲)
花臺秋盡萬峯靑(화대추진만봉청) : 연화대에 가을이 지나니 온 산봉우리 파랗고
泉落銀河轉翠屛(천락은하전취병) : 샘물이 은하수에서 뜰어져 푸른 벼랑 되었구나
向夜月明看北海(향야월명간북해) : 밤이 되니 달이 밝아 북해가 다보이고
金沙千里浸寒星(금사천리침한성) : 천리 긴 금빛 모랫벌에 차가운 별빛이 스며든다.
| |||||||||||
* 早秋遠眺(조추원조) 초가을에 멀리 바라보이는 풍경- 象村 申欽 *(臯자는 皐, 皋, 睪, 睾.와 동자이고, * 着은 본자(本字)인 著으로도 쓰이고, * 曺는 曹와 동자이다 *申欽(신흠): (1566년 명종21년~1628년 인조 6년).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경숙(경숙) 호는현헌(현헌). 상촌(상촌). 현옹(현옹). 방옹(방옹). 시호는 문정(문정). 본관은 평산(평산)이다. 송강 정철. 노계 박인로. 고산 윤선도. 와 더불어 조선사대 문장가중 한사람이다.
* 金宗直詩 靑女橫陳葉脫柯 (청녀횡진엽탈가) 청녀가 기세를 떨처 가지마다 잎이 없고 墻頭黃菊尙緘花 (장두황국상함화) 울타리 노란국화 봉오리 입을 다물고 있네 也知開日是重九 (야지개일시중구) 중양일에 피어야 함을 알고 있겠지만 其奈貧居無酒何 (기내빈거무주하) 가난한 집에 술이없으면 어떻게 할까 해서이다. *(陳=베풀진. 脫=벗을탈. 柯=가지가. 緘=봉할함. 奈=어찌내.)
황학루에서 맹호연이 광릉가는 것을 전송하다
* 南溪暮泛詩(남계모범시)-宋翼弼(송익필)-남쪽 개울에 밤에 배 띄우고
* 投壺(투호)- 息山 李萬敷(식산 이만부)-투호놀이 圖書狼藉覺神疲 도서가 어지러이 펴지면 정신이 피로함을 깨달고 竹箭金壺時自移 대화살과 호리병으로 때때로 스스로 옮겨가네. 燕息從容皆寓敎 평소휴식과 조용히 거처함에도 모두 가르침이 있으니 形休還是爲神頤 육체의 휴식도 도리어 정신을 기르는 방법이 된다네. *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 1664~1732)는 한양 근곡(芹谷)에서 이옥(李沃, 1641~1698)의 둘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