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3. 21. 16:23ㆍ한문기초書
醉翁亭記(취옹정기)-구양수(歐陽修)
環滁皆山也(환저개산야) : 저주(滁州) 지방은 모두 산으로 에워싸져 있다.
其西南諸峰(기서남제봉) : 그 중에서도 서남쪽에 있는 여러 봉우리들은
林壑尤美(임학우미) : 숲과 계곡이 특히 아름다워,
望之蔚然而深秀者(망지울연이심수자) : 멀리서 바라보아 울울창창 그윽하고 빼어난 것이
瑯王耶也(낭왕야야) : 바로 곧 낭야산(琅琊山)이니라
山行六七里(산행육칠리) : 산길을 육 칠리쯤 걸어 올라가면
漸聞水聲潺潺(점문수성잔잔) : 물소리가 졸졸 차츰 크게 들려오니,
而瀉出于兩峰之間者(이사출우량봉지간자) : 두 봉우리 사이에서 쏟아져 나오는 것이
釀泉也(양천야) : 바로 곧 양천(釀泉)이니라
峰回路轉(봉회로전) : 봉우리를 도니 산길 구불구불,
有亭翼然(유정익연) : 날개를 활짝 펼친 새처럼 정자가 있어
臨于泉上者(임우천상자) : 샘 위에 임해있는 것이
醉翁亭也(취옹정야) : 바로 곧 취옹정(醉翁亭)이다.
作亭者誰(작정자수) : 이 정자를 지은 자는 누구인가
山之僧智仙也(산지승지선야) : 산에 사는 승려 지선(智僊)이었다.
名之者誰(명지자수) : 정자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누구인가
太守自謂也(태수자위야) : 태수가 스스로 정자이름을 지어불렀다
太守與客(태수여객) : 태수는 손님들과 함께
來飮于此(래음우차) : 여기에 와서
飮少輒醉(음소첩취) : 술을 마시곤 하였는데, 조금만 마셔도 취하고
而年又最高(이년우최고) : 나이도 제일 많은지라
故自號曰醉翁也(고자호왈취옹야) : 스스로 취옹(醉翁)이라 불렀다.
醉翁之意(취옹지의) : 취옹의 뜻은
不在酒(부재주) : 술에 있지 아니하고 .
在乎山水之間也(재호산수지간야) : 산수지간에 있었으니,
山水之樂(산수지락) : 산수간에 노니는 즐거움은
得之心而寓之酒也(득지심이우지주야) : 마음으로 이것을 얻어 술에 기탁한 것이었다
若夫日出而林霏開(약부일출이림비개) : 해 떠오르면 숲속의 안개비가 걷히고
雲歸而巖穴暝(운귀이암혈명) : 저녁 구름이 돌아오면 바위구멍이 어두워진다
晦明變化者(회명변화자) : 어둡고 밝아지는 변화를 보여주는 이것은,
山間之朝暮也(산간지조모야) : 바로 산속의 아침 저녁이다.
野芳發而幽香(야방발이유향) : 들에 꽃이 피니 그윽한 향기나고
佳木秀而繁陰(가목수이번음) : 어여쁜 초목은 빼어나 무성한 녹음지고,
風霜高潔(풍상고결) : 바람과 서리는 높고 깨끗하고
水落而石出者(수락이석출자) : 수량이 줄어들어 앙상한 모습을 드러낸 바위들
山間之四時也(산간지사시야) : 바로 산간의 사시의 풍광이다
朝而往(조이왕) : 매일같이 아침이면 이 산속을 찾아가고
暮而歸(모이귀) : 저녁이면 돌아오곤 하였으나,
四時之景(사시지경) : 사시 사철의 풍광이
不同而樂亦無窮也(부동이락역무궁야) : 저마다 다른지라 즐거움은 끝이 없었다.
至於負者歌于途(가우도지어부자) : 짐 지고 가는 자는 길에서 노래부르고
行者休于樹(행자휴우수) : 지나는 사람들은 나무 밑에서 쉬는데 이르러서도
前者呼(전자호) : 앞서가는 자가 소리쳐 부르면
後者應(후자응) : 뒤에 가는 자는 응한다
傴僂提携(구루제휴) : 구부정 노인네는 손을 잡고
往來而不絶者(왕래이부절자) : 오고 가며 끊없이 이어지고 있는 사람들은
滁人遊也(저인유야) : 바로 저주(滁州) 사는 백성들이 유람나온 것이었다
臨溪而漁(임계이어) : 계곡에 내려가서 물고기를 잡으니
溪深而魚肥(계심이어비) : 물이 깊어서 물고기는 살찌고
釀泉爲酒(양천위주) : 양천(釀泉)으로 술을 빚으니
泉香而酒洌(천향이주렬) : 샘물이 향기로와 술이 맑고 차가웠다.
山肴野蔌(산효야속) : 산나물 안주와 들나물을
雜然而前陳者(잡연이전진자) : 잡다하게 앞에 벌여 놓은 것은
太守宴也(태수연야) : 바로 태수가 베푼 연회이다
宴酣之樂(연감지락) : 연회에서 술마시는 즐거움은
非絲非竹(비사비죽) : 현악기와 관악기가 필요 없었다
射者中(사자중) : 활쏘는 자들은 과녁을 맞추고
奕者勝(혁자승) : 바둑을 두는 자는 이기려 하고
觥籌交錯(굉주교착) : 벌주 잔이 큰 쇠뿔 잔을 세는 셈가지가 어지럽게 뒤섞이고
起坐而諠譁者(기좌이훤화자) : 일어났다 앉았다가 시끌벅쩍한 것은
衆賓歡也(중빈환야) : 모인 손님들이 즐거워 하기 때문이다.
蒼顔白髮(창안백발) : 푸른 얼굴에 백발한 늙은이가
頹乎其間者(퇴호기간자) : 그 사이에 쓰러져 있는 것은
太守醉也(태수취야) : 태수가 취해서 쓰러져 있는 것이다
已而夕陽在山(이이석양재산) : 어느 사이에 석양이 서산에 있고
人影散亂(인영산란) : 사람들의 그림자는 어지럽게 흩어지니,
太守歸而賓客從也(태수귀이빈객종야) : 태수가 돌아가니 손님들이 행차를 따라 돌아가는 것이었다
樹林陰翳(수림음예) : 숲속이 어둑어둑 해지고,
鳴聲上下(명성상하) : 아래 위로 지저귀는 소리는
遊人去而禽鳥樂也(유인거이금조락야) : 바로 곧 유람나온 사람들이 사라져 새들이 즐거워하는 것이다.
然而禽鳥知山林之樂(지산림지락연이금조) : 하지만 뭇새들은 숲속에서 노니는 즐거움은 알지언정
而不知人之樂(이부지인지락) : 사람들의 즐거움은 알지 못하고,
人知從太守遊而樂(인지종태수유이락) : 사람들은 태수를 따라 유람나온 즐거움은 알지언정
而不知太守之樂其樂也(이부지태수지락기락야) : 태수가 그들의 즐거움을 즐거워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
醉能同其樂(취능동기락) : 술이 취해서는 그들의 즐거움을 백성들과 함께 즐거워할 줄 알고,
醒能述以文者(성능술이문자) : 술에서 깨어나서는 글로써 그 마음을 표현해낼 수 있는 이는
太守也(태수야) : 곧 태수이라
太守謂誰(태수위수) : 태수는 누구라 하나
廬陵歐陽修也(여릉구양수야) : 여릉 땅의 구양수이다
'한문기초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사표 (0) | 2014.03.21 |
---|---|
사설(師說)-한유(韓愈) (0) | 2014.03.21 |
어부사 (0) | 2014.03.21 |
春夜宴桃李園序(춘야연도리원서) - 李白 (0) | 2014.03.21 |
五柳先生傳-도연명(陶淵明) (0) | 201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