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명대(明代) 서화가 누견(婁堅)의 행서 오언시(行書 五言詩)
2012. 9. 5. 16:41ㆍ서예일반
명대(明代) 서화가 누견(婁堅)의 행서 오언시(行書 五言詩)
酒盡君莫沽 壺乾我當發
城市多囂塵 還山弄明月
(주진군막고 호간아당발
성시다효진 환산농명월)
술 다하면 그대여 다시 사오지 말게
술병 비면 나는 떠나야 하니
저자는 너무 시끄럽고 번거로워
산으로 돌아가 밝은 달과 벗하려네
이공좌복(李公佐僕/당), 목객(木客)
壺乾我當發는 자료에 따라 "壺傾我當發"로 나오기도 한다.
이 시의 작자는 자료에 李公佐僕으로 나와 있다.
李公佐는 당대(唐代)의 관리이자 문인으로
남가기(南柯記), 이문집(異聞集) 등의 저자로 유명하다.
李公佐僕이라면 이공좌의 종복(從僕)이라는 뜻이다.
당대에 종복의 신분으로 이 정도의 시를 지었다는 것도 그렇고,
그런 사람의 작품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는 사실도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송대(宋代)의 지지(地誌)인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에는
이 시가 당나라 말기 민간에 떠도는 음주시의 하나로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출처/청경우독
출처 : 양지
글쓴이 : 양지 원글보기
메모 :
'서예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청대(淸代) 서화가 하원(何遠)의 초서(草書) 화미조(畵眉鳥) (0) | 2012.09.05 |
---|---|
[스크랩] 탄은 이정(灘隱 李霆, 1554~1626)의 1609년작‘니금세죽’ (0) | 2012.09.05 |
[스크랩] 부유(溥儒)의 백옥배주(白玉杯酒) (0) | 2012.09.05 |
[스크랩] 장우(張雨, 1283-1350) 칠언율시(書七言律詩) (0) | 2012.09.05 |
[스크랩] 임각첩행서(臨閣帖行書) (0) | 201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