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6. 11. 15:27ㆍ한시
- 중 국 명 시 감 상 -
漢 |
魏晉 |
南北朝 |
고시악부시 ← |
→근체시 唐 열린왕조 두보-이백-백거이-왕유-한유-유종원 (당 왕조 시대의 시인 서열) |
北宋 | |||||||||||
악부시 |
古詩 |
건안시기 |
정시시기 |
서진시기 |
동진시기 |
원가시기 |
제량진시기 |
전대계승,형식수사기법,낭만주의,육조문학계승←안사의난→두보사회시, 사실주의.서정성발전, 후대 위함 이백↔두보 |
1기 태조,태종 |
2기 진종 |
3기 인종 |
4기 신종 | ||||
초당(95년) |
성당(53년) |
중당(62년) |
만당(80년) | |||||||||||||
한무제때 관청이름 노래가사 송대 곽무천 악부시집 100권 군: 고취곡사, 횡취곡사 민가:상화가사, 청상곡사, 잡곡가사 제목끝 쓰임: 行,歌,引,曲 3음절, 장단구조 글자수자유로움, 12종류 나눔
|
중국대표 시형 소명태자 <문선> 대표작 <고시십구수> *유협의 <문심조룡시품>에 평이실렸음 동한중엽~말엽 남녀의 정 이별의 그리움 노래 |
건안풍골=비분강개 조조3부자중심 본격적 5언고시 창작, 건안칠자 한대악부나 민가 전통계승, 혼란한 사회상과 비참한 백성 생활 반영
|
司馬氏의 공포정치, 노장사상, 현학몰두, 淸淡 죽림칠현
|
사마염천하통일 안정기, 적극적, 호방 문학활동 활발, 귀족취향적, 형식주의, 수사주의 三張, 二陸 兩潘, 一左
|
노장사상 현언시 평담자연 무위자연
|
산수문학 전원, 산수, 호방, 청신, 준일
|
귀족적 *궁체시(서릉) 표현기교, 성률 *사성팔병설 (심약) 북조: 강개,품격
|
비궁정문인↔ 궁정문인 신진사대부 법성적,악부와 魏의 건안문학계승 <초당4걸> 왕발, 양형, 노조린,낙빈왕
|
*산수 자연시 : 주로 오언율시 (자연시 4인방) 왕유, 맹호연, 위응물, 유종원 *변새시 : 한시 5,7언, 가행체, 절구로 주로 섰음. *변새시파: 왕창령, 잠삼, 고적, 왕지환, 왕한, 최호
|
문벌귀족몰락 중하층 사대부대두 성당시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시의 세계 모색. 산수자연파-위응물,유종원 *사회시파- 백거이, 원진, 장적 *괴탄파- 한유, 맹교, 가도, 이하
|
문인의 사회개혁운동에 대한 좌절과 패배의식, 개인적 감정과 고민표출 *유미주의문학성장-(서정적, 감상적,심미적) *사회주의시 퇴조 *유미주의파-두목,이상은(남조문학 계승) *사회시파-파일휴,두순학 사실주의적,비판적(두보,백거이 문학계승)
|
백거이 시풍계승
|
이상은 계승 서곤체성행
|
고문운동, 구양수 본격송시 개척
|
중국시의 최고조 소식, 왕안석, 황정련 | |
<발전요인> 1.과거제의 도입 2.경제번영으로 서민문화 발달 3.신유학 도입 <특징>1.칠언2.고시3.섬세평 담화 4. 산문적 서술적 5. 자기생활밀착 | ||||||||||||||||
上邪! 고취곡사 <요가> 18곡중 한 곡, 사랑노래 |
十五從軍征 <악부민가 or 고시>
|
短歌行 조조 사언체 <악부시, 상화가사> 한말의 전란과 인민의 고통 자신의 정치사상반영 |
永懷(一) 완적 <고시> 지식인의고독 |
詠史(五) 좌사 <고시> 사회적모순, 정치적 불평등표현, 적극적 호방한 기세, 내용:隱逸
|
和郭主簿 도잠 <고시,자연시> 초기작품, 안분지족 |
石壁精舍還湖中作 사령운 <고시,산수시> 대우와 기교 뛰어난 시 |
玉階怨 사조 (소사) 작운시령운 <고시,궁체시> 군왕을 그리워 하는 궁녀의 마음 |
送杜少府之任蜀州 왕발 <5언율시> 궁정풍 송별시 |
塞下曲(其二) 왕창령 <5언율시〉 죽은병사에 대한 연민, 변새시 |
漁翁 유종원(고문운동) <7언고시>산수자연시 유유자적한 어부의 노래 |
泊秦淮 두목 <7언절구> 기승전결 |
戲答元珍 구양수 <7언율시> 가족그리움, 인생의 덧없음 | ||||
白雪歌送武判官歸京 잠삼 <가행체, 송별시> 변새시 | ||||||||||||||||
除夜歌 고적 변새시 <7언절구> 가족그리움, 고독 | ||||||||||||||||
飮馬長城窟行 <요가> 악부고사, 그리움 정서
|
行行重行行 고시19수중 첫 작품 이별, 그리움
|
燕歌行 조비 <최초의 7언 고시, 악부, 상화가사> 부인이 남편을 그리는 노래,그리움을 격물에 비유 |
永懷(十七)완적 82수중, 새, 짐승에 자신의감정이입, 절대고독, 고독과소외감
|
感遇(其二) 진자앙 <5언율시> 영물시
|
賣炭翁 백거이 (신 악부운동) <풍유시, 사회시> 숯을 파는 노인의 고된 삶과 고통을 통해 사회부조리 고발 |
錦瑟 이상은 <7언율시> 회재불우의 불행한 일생회고 만년에 쓴시, 전고사용
|
壬辰寒食 왕안석 <5언 율시> 아버지의 무덤 생각 | |||||||||
歸園田居 (其二) 도잠 <오언고시 , 자연시> 번거로움에서 벗어남 | ||||||||||||||||
終南別業 왕유 <5언율시> 산수자연시 | ||||||||||||||||
重別周尙書(其一) 유신(북조) <고시> 억류되어 돌아가지 못하는 시인의 쓰라린 심정
| ||||||||||||||||
擬行路難(其四) 포조 <악부시> 억압된 심사 격분과 고통 현실사회에 대한 불만토로
| ||||||||||||||||
酬張少府 왕유 <5언율시> 산수자연시 | ||||||||||||||||
過香積寺 왕유 <5언율시> 산수자연시, 승려의 좌선모습 | ||||||||||||||||
倦夜 소식(소동파) <5언율시> 적막한 객지정서 | ||||||||||||||||
送應氏 조식 비분강개 격앙된정서 <고시> 건안7자중 응창에게준 송별시 시의화자-응창 건안풍골 | ||||||||||||||||
遊子吟 맹교 (괴탄파) <5언고시> 어머니를 맞이하며 어머니 은혜에 감사하는 시 | ||||||||||||||||
過故人莊 맹호연 <5언율시, 전원시> 소박한 농가정서 | ||||||||||||||||
歸園田居 도잠 <5언고시> 전원에서의 노동 | ||||||||||||||||
將進酒-(권주가) 이백 <악부시> 회재불우, 이백의 울분과 격정 | ||||||||||||||||
和子由澠池懷舊 소식 <7언율시> 아우와 옛일 회상하면서 편지에 회답하는시 소식의 인생관이 녹아 있는 시 | ||||||||||||||||
美女篇 조식 시인자신이 영명한 군주를 만나지 못하고 때를 얻지 못해 재주를 펼치지 못한채 늙어가는 懷才不遇의억울한 심정토로 |
秋來 이하 ( 괴탄파) <7언율시> 鬼詩 불안과 좌절된 정서가 잘 드러남
| |||||||||||||||
春思 이백 <규원시> 규방여인의 일편단심 님에 대한 그리움을 쓴 시. | ||||||||||||||||
˚ 남조민가 -子夜歌 여인의 이루지 못한 사랑 ˚ 북조민가-企喩歌 유목민족의 상무정신 | ||||||||||||||||
石壕史 두보 <5언고시> 사회시 登高 두보 <7언율시, 사회시> 두보의 만년걸작, 침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