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량,정지상,김극기외

2012. 5. 31. 12:57한시

1-3. 使宋過泗州龜山寺 - 朴寅亮

     송나라에 사신 갔다가 사주(泗州) 귀산사(龜山寺)를 지나며

巉巖怪石疊成山.山有蓮坊水四環.塔影倒江翻衣底.磬聲搖月落雲間.

門前客棹洪濤疾.竹下僧碁白日閑.一奉皇華堪惜別.更留詩句若重攀.

험한 바위 괴상한 돌 첩첩 산이 되었는데,

산에 연꽃 마을이 있어 물이 사방으로 둘렸네.

탑 그림자 강물에 거꾸러져 물결 속에 일렁이고,

경쇠 소리 달을 흔들며 구름사이에 떨어지누나!

문전 나그네 탄 배에 파도가 빠른데,

대나무 아래 중의 바둑은 대낮에 한가롭다.

한번 받든 사신(皇華1)) 이별이 애석하여,

시 한 수 써두고 다시 찾기를 기약하네!

 

1-4. 送人 - 鄭知常

雨歇長堤草色多.送君南浦動悲歌.大同江水何時盡.別淚年年添綠波.

비갠 긴 언덕에 풀빛이 푸른데,

남포(南浦)로 임 보내며 슬픈 노래 울먹이네.

대동강(大同江) 물이야 어느 때 마를거나,

해마다 이별 눈물 강물(푸른 파도)에 더하누나!

 

-5. 醉時歌 - 金克己

釣必連海上之六鱉1).射必落日中之九烏2).六鱉動兮.魚龍震蕩.九烏出兮.草木焦枯.

男兒要自立奇節.弱羽纖鱗安足誅.紫纓雲孫始墮地.自謂壯大陳雄圖.

鍊石欲補東南缺.鑿石將通西北迂.嗟哉計大未易報.半世飄零爲腐儒.

不隨馮異西登隴.不逐孔明南渡瀘.論詩說賦破屋下.却把短布抱妻孥.

時時壯憤掩不得.拔劍斫地空長吁.何時乘風破巨浪.坐令四海如唐虞.

君不見凌煙閣上圖形容.半是書生半武夫.

낚으면 반드시 바다 속 여섯 자라를 한꺼번에 낚을 것이고,

쏘면 반드시 해 속의 아홉 마리 까마귀를 떨어뜨린다.

여서 자라가 움직이매 어룡(魚龍)이 떨고,

아홉 까마귀 나오매 초목이 마르고 탄다.

사내는 스스로 기특한 절개를 세워야 하나니,

약한 새와 작은 물고기야 잡을 것 있으랴.

붉은 갓끈 운손(雲孫: 먼 손자)이 처음으로 땅에 떨어지니,

스스로 장하고 큰 계획을 베푼다고 일렀네.

돌을 가다듬어 하늘 동남 무너진 곳 막으려 하고,

돌을 파서 하늘 막힌 서북의 길 트려하네.

슬프다, 큰 계획을 쉬이 풀지 못하니,

반평생 불행한 신세가 부패한 선비가 되었구나!

풍이(馮異: 漢將帥馮異)가 농서(隴西)에 오름 따르지 못하고, 

공명(孔明: 諸葛亮)이 노수(瀘水) 건넘을 본받지 못했다.

쓰러진 집 아래서 시와 부를 말하며,

짧은 포대기로 처자를 안아준다.

때때로 일어나는 울분을 누를 수 없어,

칼을 빼어 땅을 치고 하염없이 탄식하네.

어느 때나 바람을 타고 큰 물결을 부수고

앉아서 이 천하를 당우(唐虞)가 되게 할까?

그대는 능연각 위에 그린 얼굴을 보지 못했는가?

그 반은 서생(書生)이요, 반은 무부(武夫)니라.

 

047 法句經句<雙要品.2>

心爲法本.心尊心使.中心念善.卽言卽行.福樂自追.如影隨形.

마음은 보든 법의 근본이 되어

마음이 주인이 되고 지배한다.

마음속에 선을 생각한 채 말하고 행동하면

복과 즐거움이 절로 좇아온다.

그림자가 물체를 따르듯이!

 

1-6. 夏日卽事 二首 - 李奎報

1-6-1. 簾幕深深樹影廻.幽人睡孰鼾成雷.日斜庭院無人到.唯有風扉自闔開.

발과 휘장에 짖은 그림자 비추인대

졸고 있는 은자는 누구 이길래? 코를 시끄럽게 고누나.

석양빛 스며드는 정원에 오는 사람 없고,

오직 바람만 있어 문짝만 절로 열고 닫히는가?

 

1-6-2. 輕衫小簟臥風欞.夢斷啼鶯三兩聲.密葉翳花春後在.薄雲漏日雨中明.

얇은 옻 작은 대자리로 창 바람에 누웠다가

꾀꼬리 두세 소리에 그만 꿈을 깨었다.

총총한 잎에 가리원진 꽃은 봄이 지난 뒤에 남아 있고,

엷은 구름에 해 빛이 새어 비속에 밝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상,박순,최경창외  (0) 2012.05.31
이제현,이색,이곡,정몽주,권근,정도전,서거정김종직  (0) 2012.05.31
최치원  (0) 2012.05.31
묵죽도-신위  (0) 2012.05.12
[스크랩] 차운로 선생시 낙조 (햏초)  (0) 2012.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