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1. 4. 17:15ㆍ알아두면 조은글
“깊은 밤 홀로 꽃 사이에 서니 옷깃 가득 이슬과 향기에 젖어…”
[달은 서산에 숨고 밤은 적적한 삼경, 이 몸 홀로 꽃 사이에 서니 옷깃 가득 이슬과 천연의 향기에 젖는다.화암(花菴)에서 잠을 실컷 자고 나니 흰 갈매기는 모두 날아간다. 뜰 가득 석양이 내리쬐고 강촌은 적적할 때 어디선가 뱃사공은 뱃노래 한 가락을 뽑아 어기여차 소리 원근에서 들려온다.붉고 흰 꽃 몇 그루의 향기가 코를 찌른다. 다정한 사람은 술병을 들고 나귀를 울리며 온다. 상에는 책, 시렁에는 거문고. 웬일인지 아이들은 바둑판 하나를 다시 내온다.]
세속적이고 번잡한 일을 떠나 자연과 더불어 지내고, 꽃과 함께 보내는 여유로운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는 백화암을 짓고서 서울의 저명한 문인들에게 연락하여 시문을 받았다. 꽃에 대한 사랑과 전문성에 대한 자부심이 엿보이는 행동이다. 유득공은 특별히 ‘금곡(金谷)의 백화암(百花菴)에 부친 상량문’을 썼고, 유금, 이헌경, 목만중, 정범조, 이용휴 등이 시와 문장을 써서 그에게 부쳤다. 모두 남인 인사들로서 문명(文名)이 자자한 이들이었다. 그 가운데 이용휴가 지은 ‘멀리서 백화암에 부친다(寄題百花菴)’에는 꽃과 더불어 살아가는 유박의 멋이 잘 드러나 있다.
향기로운 풀에 녹색 빛이 오르면내가 사랑하는 것이라 뽑지 않네.다시 신기한 구경거리를 갖추고자먼 지역에서 종려나무 사온다네.시내를 따라 동산을 건너올 때작은 수레를 굳이 탈 것인가?낮은 가지는 때로 갓을 치고떨어진 꽃술은 소매에 붙네.이것이 아니면 즐겁지 않아아침저녁으로 숲을 거니네.집에서 진지 차렸다고 고해도“천천히 하지”라고 답할 뿐.꽃부리 먹고 열매를 먹는 그대는어엿한 옛날의 궤거(풡퀒)일세.“조물주는 청복(淸福)을 아끼건만어째서 내게만 듬뿍 주셨을까?”꽃 아래서 때로 술잔을 들며스스로 축하도 하고 칭찬도 하네.동전 냄새와 고기비린내는온갖 꽃내음이 씻어주네.
‘화목품제(花木品題)’로 연 꽃 품평회
화원을 경영한 지 거의 20년 되던 해인 1772년 이전에 유박은 친구인 안습제(安習濟, 1733~?)와 주고받은 편지를 근거로 ‘화목품제(花木品題)’를 저술했다. 꽃과 나무의 등급을 나누어 평가한 것으로서 오랫동안 꽃을 키우고 감상한 체험과 지식의 핵심을 담았다. 이 책에서 유박은 꽃을 모두 9개 등급으로 나누었다.
양화소록>과 <화암수록>은
조선시대 쌍벽을 이루는 귀한 원예 책자로 보면 된다.
강희안은 '화목구품(花木九品)'을 어떻게 정하고 배치했을까?
(지금 쓰는 '꽃이름'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염두하고 살펴봐야 한다)
1품 : 솔, 대, 연, 국화, 매화
2품 : 모란
3품 : 사계, 월계, 왜철쭉, 영산홍, 진송, 석류, 벽오
4품 : 작약, 서향화, 노송, 단풍, 수양, 동백
5품 : 치자, 해당, 장미, 홍도, 벽도, 삼색도, 백두견, 전춘라, 금전화
6품 : 백일홍, 홍철쭉, 홍두견, 두충
7품 : 이화, 행화, 보장화, 정향, 목련
8품 : 촉규화, 산단화, 옥매, 출장화, 백유화
9품 : 옥잠화, 불등화, 연교화, 초국화, 석죽화, 앵속각, 봉선화, 계관화
유박은 <화목품제(花木品題)>를 저술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꽃과 나무를 9등급으로 평가했다.
1등 : 매화, 국화, 연꽃, 대나무, 소나무
2등 : 모란, 작약(芍藥), 왜홍(倭紅), 해류(海榴), 파초
3등 : 치자, 동백, 사계(四季), 종려, 만년송(萬年松)
4등 : 화리(華梨), 소철, 서향화(瑞香花), 포도, 귤
5등 : 석류, 복사꽃, 해당화, 장미, 수양버들
6등 : 두견, 살구, 백일홍, 감, 오동
7등 : 배, 정향(庭香), 목련, 앵두, 단풍
8등 : 목근(木槿, 무궁화), 패랭이꽃, 옥잠화, 봉선화, 두충(杜沖)
9등 : 규화(葵花, 접시꽃), 전추사(剪秋紗), 금전화(金錢花), 창잠, 화양목(華楊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