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국어사전에 잘못된 호칭어

2018. 7. 11. 09:44알아두면 조은글

 

                      국어사전에 잘못된 호칭어

                                                       최 태 연

1.

×삼촌-댁(三寸宅): 삼촌의 아내란 뜻으로 작은어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

○삼촌-댁(三寸宅): 숙부가 사는 집.

*사전의 뜻풀이는 패륜적(悖倫的) 뜻풀이다. 숙모는 어머니와 같은 반열의 어른이며‘작은어머니’란 호칭과‘숙모’란 지칭이 있다. 처남댁 같은 것은 딴 호칭이 없고, 존속이 아니므로 처남댁이라고 불러도 되겠지만, 숙모(叔母)를 삼촌댁(三寸宅)이라고 할 수 없다. 숙모를 삼촌댁이라고 하는 가문은 없다. 숙모보다 위계가 낮은 형수를 ‘형님댁’이라고 하지 않는다. 형님댁은 형이 사는 집이 될 뿐, 형수가 아니다.

2.

×외삼촌댁(外三寸宅): 외삼촌의 아내란 뜻으로 외숙모를 이르는 말.

○외삼촌댁(外三寸宅): 외숙이 사는 집.

*외숙모를 외삼촌댁이라고 하는 뜻풀이는 망발이다. 외숙모가 연하라고 해도 ‘외삼촌댁’이라고 하는 법은 없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더라도 국어사전에서 고쳐 주어야 한다. 국어사전은 세인을 계도하는 역할이 있다.

3.

×진외조부(陳外祖父): 아버지의 외조부.

○진외증조부(陳外曾祖父): 아버지의 외조부. 할머니의 아버지.

4.

×진외조모(陳外祖母): 아버지의 외조모.

○진외증조모(陳外曾祖母): 아버지의 외조모.

*진외가에는 진외조부모가 없다. 아버지의 조부가 나에게 증조부가 되듯이

진외가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버지의 외조부는 나에게는 진외증조부고, 아버지의 외조모는 나의 진외증조모이다.

5.

×이질(姨姪): 아내의 자매의 아들딸.

○이질(姨姪): 여형제끼리 그들의 자녀를 서로 이르는 말.

*아내의 여형제의 아들딸은 처이질(妻姨姪)이다. 남자에게는 이질이 없다.

6.

×내종(內從): 고종(姑從)을 외종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예전에는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내종(內從): 외사촌. 고종이 외종이고 외종의 대어(對語)가 내종이다.

*①아들이 낳은 자녀나 딸이 낳은 자녀들이나 같은 손자인데, 출가외인이 된 딸이 밖에서 낳았기 때문에 밖에서 난 손자란 뜻으로 外孫이라고 한다.

②형제자매의 자녀는 같은 조카이지만 출가(出嫁)한 자매가 밖에서 낳은 조카는 밖에서 난 조카란 뜻으로 외질(外姪: 생질)이라고 한다.

③숙부의 자녀나 고모의 자녀는 같은 사촌이지만 출가한 고모가 낳은 자녀는 밖에서 난 사촌이란 뜻으로 외종(外從)이라고 한다.

외손ㆍ외질ㆍ외종의 외(外)는 밖이란 뜻이고 외가와 아무 관계도 없는데 이 외(外)자 때문에 외종을 외사촌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고종을 내종이라는 이여, 내(內)는 어디서 왔으며 무슨 뜻인지 설명하라.

내종ㆍ외종의 잘못된 뜻풀이 때문에 관련된 호칭어 12개의 뜻풀이가 잘못되어 있다.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것이다.

7.

×외종(外從):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예전에는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외종사촌ㆍ표종.

○외종(外從): 고모의 자녀.

 

*외가의 호칭은 친가의 호칭어 앞에‘외’자를 접두사로 쓰면 된다. 조부→외조부, 숙부→외숙부, 사촌→외사촌 등과 같다. 친가에‘종(從)’이란 호칭이 없으므로 외가에 ‘외종’이란 호칭이 있을 수 없다. 사촌에‘외’자가 붙은 외사촌이란 말이 있을 뿐이다.

“외종: 예전에는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는 말은 외종의 뜻이 바뀌었다는 말이다. 내종, 외종은 상대관계로 존재하는 대어(對語)인데, 대어관계에 있는 두 호칭어가 뜻이 뒤바뀌는 경우는 절대로 없다. 호칭을 잘 모르는 언중이 잘못 쓰는 말이다. 국어원에서는 잘못된 말을 옹호하고 수정하지 않는다. 국어사전이 언중을 계도(啓導)하지 않고 오도(誤導)하고 있다. 국어사전이 잘못 쓰는 언중의 말을 따라간다면 국어 교육이 왜 필요한가?

한자어로 된 호칭어의 뜻은 변하지 않는 불변성(不變性)이 있고, 서울에서나 대구에서나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보편성(普遍性)이 있다. 조선시대의 내종이 지금은 외종이 되고, 영남에서 쓰는 내종(內從)이 서울서는 외종(外從)이 되는 그런 경우는 절대로 없다.

호칭어는 윤리의 문제이다. 그런데다가 내종ㆍ외종 뜻풀이 때문에 많은 호칭어의 뜻풀이가 잘못되어 있다.

8.

×내외종(內外從): 내종사촌과 외종사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내외형제ㆍ 중표형제.

○내외종(內外從): 외사촌과 고종사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뜻풀이를 알기 쉽게 해야 한다.

9.

×내종매(內從妹): 고종매를 외종매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내종매(內從妹): 외사촌여동생.

*뜻풀이를 알기 쉽게 해야 한다. 내종의 뜻풀이가 잘못되어 있기 때문에‘내종매(內從妹)’의 뜻풀이도 잘못 되어 있는 것이다.

10.

×내종매부(內從妹夫): 내종매의 남편을 이르는 말.

○내종매부(內從妹夫): 외사촌여동생의 남편을 이르는 말.

11.

×내종제(內從弟): 고종제를 외종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내종제(內從弟): 외사촌동생. = 외-종제(外-從弟).

*외-종제는 외사촌동생이고. 외종-제는 고종사촌동생이 된다. 발음으로도 구분해서 말할 줄 알아야 한다.

12.

×내종형(內從兄): 고종형을 외종형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내종형(內從兄): 외사촌형. = 외-종형(外-從兄).

*내종,외종의 뜻풀이가 이미 잘못되었기 때문에 내종형(內從兄), 내종제(內從弟)의뜻풀이는 잘못 될 수밖에 없다.

13.

×내종형제(內從兄弟): ‘고종형제’를 외종형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내종형제(內從兄弟): 외사촌형제.

*뜻풀이를 읽으면 무슨 말인지 곧 알 수 있도록 뜻풀이를 해야 한다. 국어사전의 뜻풀이는 사전 이용자들에게 봉사하는 것이다. 뜻풀이 속에 어려운 말을 섞어서 또 다른 말을 찾는 번거로움을 가능한 한 없애야 한다.‘내종형제(內從兄弟): 내종사촌이 되는 형이나 아우.’라고 하면‘내종사촌’을 또 찾아보아야 한다. 불편하다.‘내종형제(內從兄弟): 외사촌형제.’라고 하면 얼마나 간단하고 알기 쉬운가!

14.

×내종씨(內從氏): 고종씨를 외종씨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내종씨(內從氏): 남의 외사촌을 높여 이르는 말.

15.

×외종씨(外從氏): =외종형.

○외종씨(外從氏): 남의 고종을 높여 이르는 말.

*‘외종씨’가 어찌 ‘외종형’이 되는가? 외종은 외종형과 외종제가 다 포함되는 말이다. ‘씨’는 높이는 말이다.

16.

×표숙(表叔): =외삼촌.

*표종=외종을 외사촌이라고 잘못 보는 데서 외숙까지 표숙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표(表)는 외(外)와 같은 뜻이므로 외숙을 표숙이라고 해도 될 것 같지만, 그렇게 말을 만들면 안 된다. 외숙이란 말이 있는데, 논리에 맞지 않게 표숙이란 말을 만들면 안 된다. 내외형제를 중표형제라고 하는데, 이때 중(中)은 내(內)의 뜻이고, 표(表)는 외(外)의 뜻이지만, 외숙의‘외’까지 표(表)로 바꾸어 외숙(外叔)을 표숙(表叔)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외숙모를 표숙모라 하고, 외조부를 표조부로, 외조모를 표조모라고 하고, 외가를 표가(表家)라고 하면 되겠는가? 표숙(表叔)은 말장난이다.

17.

×표종(表從): =외종.

○표종(表從): 고종사촌. =외종(外從).

*표종이 외사촌인지 고종사촌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뜻풀이해야 한다. 표(表)는 외(外)의 뜻인데 표종=외종은 고종(姑從)이다. 외사촌이 아니다.

18.

×표종형(表從兄): =외종형.

○표종형(表從兄): 고종사촌형.

*외종이 고종인데, 외종을 외사촌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외(外) 즉 표(表)이므로 외종을 별칭(別稱)해서 표종이라고 하는데 표종은 고종이다.

19.

×교객(嬌客): 사위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

○교객(嬌客): 자기 사위를 이르는 말. 여서(女壻).

*사위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하면 그 사위가 자기 사위인지, 남의 사위인지, 아니면 통칭인지 분명하지 않다.척독대방에‘교객(嬌客): 기서칭(己壻稱):자기 사위를 이름’으로 되었다. 한문사전에도‘교객(嬌客): 자기 사위를 이르는 말’로 되어 있다. 자기 사위임을 분명하게 나타내야 한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우리가 가장 믿을 수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의 호칭어 뜻풀이가 잘못된 것이 20개쯤 된다.이것은 필자가 빠짐없이 조사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뜻풀이가 잘못된 호칭어는 더 있을 수도 있다.

끝.

 

출처 : 3355일근
글쓴이 : 최태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