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사온(三復四溫)​

2022. 10. 11. 01:16즐거운 사자성어

삼복사온(三復四溫)​

세 번 반복하고 네 번 익힌다!

마오저뚱은 평생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던 독서광이었다.

그가 머무는 곳에는 언제나 책이 있었다.

타지로 시찰을 나갈 때나

회담차 모스크바로 갈 때도

도중에 읽을 도서 목록부터 챙겼다.

그는 임종하기 직전

의사의 응급 처치를 받으면서도

송나라 때 홍매(洪邁)의

'용재수필(容齋隨筆)'을 읽었다.





그의 독서법은 그 자신이

'삼복사온(三復四溫)'이라

명명한 방식이었다.

세 번 반복해 읽고 네 번 되풀이해

온축하는 독서 방법을 가리킨다. ​

이와 함께 마오는 '붓을 들지 않고는

책을 읽지 않는다(不動筆墨不讀書)'는

원칙을 지켰다.

그는 책을 읽고 나면 표지 위에

동그라미 하나를 표시했다.

두 번째 읽으면 동그라미

하나를 더 추가했다.

그는 기본이 되는 고전을 수도 없이

되풀이해 읽고 또 읽었다.

그가 아껴 읽은 책의 표지에는 으레

4, 5개씩의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었다.

본문 중에도 직선과 곡선의 밑줄,

동그라미와 점, 삼각형이나 의문부호 등

각종 표시들로 어지러웠다.





책의 여백에 메모도 부지런히 했다.

필기구가 그때마다 달랐으므로

여러 차례 읽은 책은 한 책 속에

다양한 색깔의 부호와 메모가 남았다.

특별히 중요한 대목은

별도의 공책에 초록했다.

독서일기도 썼다.

책 속 내용에 동의할 수 없거나

잘못된 내용은 바로잡아 두었다.





그는 '홍루몽'을 특히 아꼈다.

측근에게 다양한 판본을

구해 줄 것을 부탁해 10종이 넘는

같은 책을 읽어 치웠다.

'루쉰 전집'도 판본을 바꿔가며

평생 애독했다.

나중에 시력이 나빠지자

그를 위해 판형을 크게 한 전집을

특별히 간행했을 정도였다.

청대 판본의 '이십사사'는

모두 850책의 거질인데,

매 책마다 어김없이 권점과

표시들이 남아있다.

식사를 기다리는 짧은 시간에

독서 삼매에 빠져들면 밥 먹는 것도 잊고

읽던 대목을 마치고서야 수저를 들었다.

이런 삼복사온 독서로 온축된 지성이

그의 연설이나 일상적 대화 속에서

불쑥불쑥 튀어나와 상대방을 압도했다.

지도자의 경륜이 반복적 고전 독서에서

모두 나왔다.

'즐거운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馬齊瘖  (1) 2022.10.14
明鏡高懸  (1) 2022.10.12
은악양선  (0) 2022.09.29
횡행개사(橫行介士)  (2) 2022.09.24
요득강  (1)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