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3. 2. 13:26ㆍ나의 이야기
夏爐冬扇(하로동선).王充(왕충).字:重任(중임).
後漢(후한)의 思想家(사상가=唯物論者)
<檀紀弘益人間2360年新羅3代儒理王(儒理尼師今)4年丁亥.漢朝光武建武
3年=27~~104=新羅婆娑王25年甲辰.漢朝章和永元16年.檀紀弘益人間
2437年>
=겨울에 화로와 여름의 부채 이지만=
作無益之能(작무익지능) 쓸모없는 재능을 내세우고
納無補之說(납무보지설)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는 의견을 내놓는 것은
獨如以夏進(독여이하진) 여름에 화로를 권하고.
爐以冬奏扇(로이동주선) 겨울에 부채를 내미는
亦徒耳(역도이) 것과 같다.
*겨울의 화로와 여름의 부채는 유용(有用)하고 환영(歡迎) 받는 물건(物
件)이 지만
겨울의 부채와 여름의 화로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무용지물(無用之
物)인 것 같다.
그러나 여름의 화로라 하더라도 그것으로 젖은 것을 말릴 수도 있으며
겨울의 부채라 하더라도 그것을 부침으로써 꺼져가는 불을 살려서 활활
타게 할 수도 있지 않은가?
좀 더 비약(飛躍)하면 아무 쓸모없이 보이는 것이 때로는 어느 것보다
더 유용(有用)하게 쓰이는 이른바
莊子(장자)의 '쓸모없는 것의 쓸모 있음(無用之用)'의 철학에도 생각이
미친다.
莊子(장자)는 '사람들은 모두 유용(有用)의 쓰임을 알지만 무용(無用)
의 쓰임 은 알지 못 한다'고 말했다.
버린 돌이 주춧돌이 된다는 말이 있듯이 못쓰겠다고 단념(斷念)하고 내
버린 것이 나중에 중용(重用)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凡俗(범속)한 人間(인간)들의 눈에 無用(무용)으로 보이는 것이 도리어
대용 (大用 크게 쓰임)으로 쓰일 수도 있다.
*출처: 고사 성어 조사. <不備修心訣>
*檢索題 :“고인돌은 왜 만들어졌는지 물어볼까”
[출처] 夏爐冬扇(하로동선).王充(왕충).字:重任(중임). |작성자 ayjg0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