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 7. 11:58ㆍ명필감상
송나라 시대 소동파, 황정견과 더불어 송 3대 서예가로 불리는 미불(1051~1107)은 화가로도 이름이 높아 미불점법이라는, 서양화 기법으로 본다면 신인상주의 화가인 조르쥬 쇠라와 폴 시냑이 시도했던 점묘법을 수묵으로 창시하여 산수화를 그린 유명한 서화가인데, 그가 이백, 두보와 더불어 당나라 3대 시인의 한사람으로 꼽히는 왕유(699~759)의 시를 썼습니다.
참으로 명필다운 힘있고 멋진 글씨입니다.
이 시는 <화박사진공호종온탕和朴射晉公扈從溫湯>이라는 제목의 시입니다.
天子幸新豊旋旗渭水東 천자께서 신풍에 순행을 가시니 깃발은 위수의 동쪽에 나부끼네.
寒山天仗裏溫谷慢城中 한산은 임금 행차 의전 속이요 온곡은 임금 행열 가운데라네.
尊玉群仙座焚香太乙宮 뭇 신선 자리에 옥을 바치고 태을궁에서는 향을 사르네.
出遊逢牧馬罷獵見飛熊 사냥 나갈 때 목장의 말을 만났는데 수렵 파하고 나니 비웅을 보았네.
上帝無爲化明時太古同 상제가 배푼 무위의 교화는 태고의 밝은 시절과 같은 것이라네.
靈芝三秀紫陳栗萬廂紅 영지는 세번 자라 붉은 빛을 띠었고 묵은 곡식은 집집마다 행랑에 붉게 걸렸네.
王禮尊儒敎天兵小戰功 왕의 예법은 유교를 따르고 황제의 병사들은 전공을 작게 여기네.
長吟吉甫頌朝夕仰淸風 길보의 노래 길게 읊으며 조석으로 청풍을 우르르네.
당 3대 시인인 <시선詩仙 이백李白>, <시성詩聖 두보杜甫>, <시불詩佛 왕유王維>의 시를 후대 명필들의 글씨로 감상할 수 있게 되어 참으로 유익했습니다.
<인물탐구>
왕유 (병) Wang Wei (웨) Wang Wei. 699 중국 산시 성[山西省] 치 현[祁縣]~ 759.
중국 문화사의 황금기에 활동한 유명한 예술가·문인.
자는 마힐(摩詰). 시·음악·그림으로 표현되는 인문 교육의 귀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7세기의 화가이자 문인인 동기창 (董基昌)은 그의 화론서에서 왕유를 남종화(南宗畵)의 시조로 규정했다. 남종화는 문인 취향의 그림으로서, 피상적인 묘사보다는 개인적인 감정 표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나중에 거의 신화적인 존재로까지 추앙받았기 때문에, 진정한 왕유의 모습을 탐지해내기는 어렵다. 왕유는 당대(唐代 : 618~907)에 태어나서 자랐다. 당시 당의 수도 장안(長安)은 부와 안정을 동시에 누린 국제적 도시였다. 왕유는 21세 때 진사(進士)시험에 급제했다. 9세 때부터 이미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고 하지만, 진사 급제는 특히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는 고위 관직에 올랐지만, 이내 강등되어 산둥 성[山東省]의 하찮은 직책에 임용되었다가, 734년에 수도로 소환되어 상서우승(尙書右丞)의 자리에 올랐다.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켜 756년에 수도 장안을 점령했을 때, 반란군에 사로잡혀 반란군의 수도인 뤄양[洛陽]으로 끌려갔다. 이곳에서 왕유는 억지 벼슬을 받았다. 758년 관군이 장안과 뤄양을 탈환했을 때, 왕유는 반란군에게 사로잡혀 있을 때 황제에 대한 충성을 표현한 시를 썼고, 또 고위 관리인 형이 힘을 써준 덕분에 화를 면할 수 있었다. 말년에 그는 속세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 아내와 어머니의 죽음으로 더욱 슬픔에 빠진 그는 장안 중난 산[終南山]의 망천(輞川) 옆에 있는 시골 집에 틀어박혀 불교 연구에 몰두했다. 왕유가 지은 시 가운데 가장 훌륭한 작품으로 꼽히는 것들은 대부분 시골 풍경에서 영감을 받은 것들이다.
왕유의 예술은 당시의 기록과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그의 그림 사본을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복원할 수밖에 없다. 그가 여러 가지 주제로 그림을 그리고 다양한 표현양식을 채택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나, 산수화를 발달시킨 최초의 사람 중의 하나로 특히 유명하다. 그는 생존시에 설경산수화로 유명했으며, 가장 유명한 작품은 〈망천도 輞川圖〉라는 화권(畵卷)이다. 이 그림은 없어진 지 오래되었으나, 후에 제작된 많은 모사품으로 대강의 구도는 보존되었다. 기록상 그의 작품에서 발묵 (潑墨) 기법이 최초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의 그림들은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것을 함께 받아들였다. 그러나 후세에 성인에 버금가는 지위까지 올라간 것은 그가 화가인 동시에 위대한 시인이었기 때문이다. 중국 명시 선집에 그의 작품은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그는 이백(李白 : 701~762)·두보(杜甫 : 712~770) 등의 유명한 당대 시인들과 함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시인으로 손꼽힌다.
<미불> (병) Mi Fei (웨) Mi Fei. 1051~ 1107 중국 장쑤 성[江蘇省] 화이양[淮陽].
중국 송대(宋代)의 학자·시인·서예가·화가.
자는 원장(元章), 호는 해악외사(海嶽外史)·양양만사(襄陽漫士). 중국의 주요예술가들 가운데 한 사람인 그는 관직에 있었지만 높은 지위에 오르지 못했고 자주 자리를 바꾸었다. 1103년 철학박사, 1104년 서화학박사(書畵學博士)가 되었다. 광범위한 글, 즉 시와 미학의 역사에 대한 논문, 화론(畵論) 등을 썼는데, 오늘날에도 상당한 양이 남아 있다.
미불은 송대(宋代:960~1279) 초기에 고위 관리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머니가 영종(英宗:1063/64~68 재위)의 유모였기 때문에 그는 궁정에서 왕족과 자유롭게 어울리면서 자라났다. 소년시절에 조숙한 재능을 보였는데, 특히 서예에 남다른 재능이 있었다. 그는 미래의 관리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된 정식 수업을 싫어했지만, 학문적인 논의를 재빨리 이해함으로써 예민한 지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재미있고 독창적인 시에 소질을 보였고, 그림과 서예에 뛰어난 능력을 나타냈다.
나중에 벼슬길에 올랐는데, 자리를 자주 바꾸어 경력이 다채로웠다. 처음에 황실도서관에서 책을 교정하는 관리로 벼슬길에 올랐고, 그후 수도 카이펑[開封]을 떠나 3군데나 자리를 옮겼다. 1103년 철학박사가 되었고, 안후이 성[安徽省] 우웨이[無爲]에서 잠시 군사령관으로 일했다. 1104년 수도로 돌아와 서화학박사로 일했는데, 이 기회를 이용하여 황제에게 아들 미우인(米友仁)이 그린 그림을 선물했다. 그후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의 자리에 앉았다가 마지막으로 장쑤 성 화이양의 군사령관이 되었는데, 이 자리에 있을 때, 5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쑤 성의 단투[丹徒]에 묻혔고, 묘비에는 아들 미우인이 그를 위해 쓴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 미불은 결혼하여 5명의 아들과 8명의 딸을 두었는데, 아들 중에서는 첫째와 둘째만 살아 남고 나머지 3명은 어려서 죽었다.
'명필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필 한시 감상- 미불이 쓴 왕유의 시 (0) | 2012.03.15 |
---|---|
[스크랩] 회소 자서첩 (0) | 2012.03.15 |
[스크랩] 명필 명문 감상 - 제갈공명 후출사표 (0) | 2012.01.07 |
[스크랩] 2012,임진년 연하장 (0) | 2011.12.31 |
[스크랩] 조선시대 양사언의 초서 (0) | 201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