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찰관련글

2021. 4. 12. 08:26간찰

♥초서(간찰)

又次

名花依舊去年枝

脉脉離情爾獨知

天柱峯頭今夜月

芳綠猶有彩鸞期

洛洲

또 차운함

이름난 꽃 작년 가지에 그대로 있으니

막막한 이별의 정을 너만이 알 것이다

천주봉 머리에 둥실 뜬 밝은 오늘밤

꽃다운 인연 채란을 만날 기회 있으리

낙주

★오래 못본 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보내주신 글을 받고서 당신께서

잘 지내신다는 것을 알게되어

십분 위로가 됩니다

저는 근자에 개인적인 연고가

연이어 일어나서 (당직)이 설 날이

언제 될지 모르겠습니다

★阻抱正是一般 辱問忽至

就審令體神相 慰倒十分

弟近者私故連仍

未知入直亦在何日也

★書簡(서간)간찰

일반적 명칭으로 서찰 서간으로

문체의 명칭으로 서독 간독 척독

등으로 쓰인다

간찰을 지칭하는 용어로 (函書)함서

(翰札)한찰(雁書)안서 (雲函)운함

(書狀)서장(缄書)함서 등 50여가지로 표현하였다

★서간문의 구성으로

(書頭)서두 (候問)후문(自敍)자서

(述事)술사 (結尾)결미로 크게

다섯다락으로 나눈다

★(書)서란 (舒서)펼침이고 狀장은

진술함이고 疏도 펼침이다

簡간은 대략적으로 기술한 편지이며

재료에 따라 대나무에 쓴것을 簡간이고

나무판에 쓴것은 牘독 또는 札찰이며

주고 받은 시점에서 (書札)서찰이며

문서를 (簡札)간찰이라 하며

문집에 실린 것을(書簡)서간이라 한다

★★(서간의 격식)

(조부모 부모께 올리는 격식)

(某啓 孟春猶寒

伏惟 某親尊體起居萬福

某在此 與新婦以下各循常

乞不賜遠念

未由省侍 伏乞倍加調䕶

下誠不任瞻戀之至 謹奉狀 不備

孫某再拜 上某親几前

※(書頭서두)

某啓(모는 아룁니다)

※(候問후문)

孟春猶寒

(초봄이 아직 차가운 이때에)

伏惟 (某)親尊體起居萬福

(삼가 모 친께서는 존체의

일상이 만복하실 줄로 생각합니다)

※(自敍자서)

某在此 與新婦以下各循常

乞不賜遠念 (모는 이곳에서 신부 이하로

모두 평상처럼 잘 지내고 있으니 멀리서

염려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述事술사)

※(結尾결미)

未由省侍 伏乞倍加調䕶

下誠不任瞻戀之至 謹奉狀 不備

孫某再拜 上某親几前

★(보살펴 드리며 모실 길이 없으니

삼가 보중하시기를 빕니다

제 마음은 지극한 그리움을 견딜 수 없습니다

삼가 글을 올리며 격식을 갖추지 못합니다

손자 모가 두번 절하고

모친의 안석 앞애 올립니다)

※※서간문의 구성으로

(書頭)서두 (候問)후문(自敍)자서 (述事)술사

(結尾)결미로 크게 다섯다락으로 나눈다

※(書頭)서두는 머리말로

오랫동안 소식이 막혀서

그동안 안부를 여쭙지 못해서, 지난번 왕림해 주셔서, 지난번 만난뵌 이후로 ,지난번 부친 간찰 이후로, 절기와계절 인사, 등

사항에 따라 심정를 표현한다

※(候問)후문은

받는사람의 간단한 문후와 축하 위문과

만물의 이치 도리와 세상사 등 안부를

묻는 것이다

※(自敍)자서는

보내는 사람 자신의 근황을 서술하며

상대방에 대한 존중을 표현한다

※(述事)술사는 사연를 적는 것이다

집안의 각종 대소사와 필요한 도움에 대해 청하는 경우다

※(結尾)결미는

끝부분으로 여러 사정으로 길게 적지

못하고 간략하게 적는다,

언제쯤에 다시 만날수 있을까, 등

절기와 건강을 기원하는 내용을 적고

끝맺는 말을 한뒤에 간찰의 예식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삼가 간찰의 내용을 잘 살펴주시기를 바랍니다,

삼가 간찰을 올립니다. 등 표현을 쓰고

그 뒤에 보낸 날짜와 성명 올림을 쓴다

●●耿耿(경경)상대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

碌碌(녹녹)평범한 모양

娓娓(미미)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다

伏伏(복복)아주 기쁘고 감사하다

僕僕(복복)아주 기쁘고 감사하다

森森(삼삼)눈에 아른거림

憒憒(궤궤 )마음이 어지러운 상태

溳溳(운운)어지러운 모양

規規(규규)놀라서 얼이 빠진 모양

區區(구구)간절하다 ,보잘것 없다

闕候(궐후)문후를 올리지 못하다

不宣(불선)이만 줄인다

付書(부서)편지를 부치다

阻闊(조활)오래도록 소식이 막히다

拜違(배위)절하고 작별하다

拚別(변별)손을 맞잡고 작별하다

 

 

'간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찰용어집 1(2004년 1월)  (0) 2021.04.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찰용어집 2 (2004년 1월)  (0) 2021.04.12
간찰관련글  (0) 2021.04.12
김세렴  (0) 2018.08.20
윤호  (0) 2018.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