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過十六

2019. 5. 8. 11:15世說新語

구과십육(口過十六)

[요약] (: 입 구. : 잘못 과. : 열 십. : 여섯 육)

입으로 짓기 쉬운 16가지이라는 뜻.

[출전] 허목(許穆) 기언(記言) 卷之二十三

) --> 

[내용] 남인의 영수로 조선 후기 정계와 사상계를 이끌어간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의 기언(記言; 卷之二十三)에 불여묵전사노인(不如默田社老人)16() 글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불여묵전사노인(不如默田社老人)16()

) --> 

성인께서는 괴이한 것, 용력(勇力), 패란(悖亂), 귀신 등에 관해서는 말씀하지 않았다. 괴이한 것은 상도에 어긋나고, 용력은 덕을 해치며, 패란은 도를 거스르고, 귀신은 사람을 미혹시키니, 이것은 성인의 가르침이다. 죽을 날이 가까운 노인이 말의 허물 열여섯 가지를 경계하려고 한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유언비어, 농지거리, 가무와 여색에 관한 말, 재화나 이익에 관한 말, 성내는 말, 격렬한 말, 아첨하는 말, 구차한 말, 으스대는 말, 질투하는 말, 나의 과실을 듣기 싫어서 하는 말, 자기 잘못을 가려서 꾸며 대는 말, 남을 평가하여 꾸짖는 말, 곧은척하며 남의 사생활을 들추어내는 말, 남의 선행을 무시하는 말, 남의 허물을 드러내는 말들이다. 당시의 금기(禁忌)와 시대의 변고에 관해서는 삼가지 못하는 경우, 작게는 비난을 빚어내고 크게는 재앙이 자기 몸에 미치니 마땅히 경계해야 할 것이다.

聖人不語怪力亂神怪反常力害德亂悖道神惑人此聖人之敎也老人垂死戒口過十六其戒曰

行言戲謔聲色貨利忿㚄撟激諂佞苟私矜伐忌克恥過澤非論人訾詬倖直傾訏蔑人之善揚人之愆時諱世變有不愼者小則生詬大則災及其身宜戒之자료; 한국고전번역원.

) --> 

이하 조선일보 [정민의 世說新語] 구과십육(口過十六)의 글.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불여묵전사(不如默田社) 노인의 16가지 경계(不如默田社老人十六戒)'란 글을 소개한다. 노인이 구과(口過), 즉 입으로 짓기 쉬운 16가지의 잘못을 경계한 내용이다.

) --> 

16가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행언희학(行言戲謔)이다. 실없이 시시덕거리는 우스갯말이다.

둘째는 성색(聲色)이다. 입만 열면 가무나 여색에 대해 말한다.

셋째는 화리(貨利)니 재물의 이익에 관한 얘기다. 무슨 돈을 더 벌겠다고.

넷째는 분체(忿)로 걸핏하면 버럭 화를 내는 언사다.

다섯째는 교격(撟激)이다. 남의 말은 안 듣고 과격한 말을 쏟아낸다.

여섯째는 첨녕(諂佞)이니 체모 없이 아첨하는 말이다.

일곱째는 구사(苟私). 사사로운 속셈을 두어 구차스레 군다.

여덟째는 긍벌(矜伐)이다. 내가 왕년에 운운하며 남을 꺾으려 드는 태도다.

아홉째는 기극(忌克)으로 저보다 나은 이를 꺼리는 마음이다.

열째는 치과(恥過). 남이 내 잘못을 지적하는 것을 수치로 알아, 듣고 못 견딘다.

열한째는 택비(澤非). 잘못을 인정치 않고 아닌 척 꾸민다.

열둘째는 논인자후(論人訾詬)니 남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비방하며 헐뜯는 일이다.

열셋째는 행직경우(倖直傾訏)로 저 혼자 곧은 체하며 남의 허물을 들춘다.

열넷째는 멸인지선(蔑人之善)이다. 남의 좋은 점을 칭찬하지 않고 애써 탈 잡는다.

열다섯째는 양인지건(揚人之愆)이다. 남의 사소한 잘못도 꼭 드러내 떠벌린다. 열여섯째는 시휘세변(時諱世變)이다. 당시에 말하기 꺼리는 얘기나 세상의 변고에 관한 말이다. 이런 노인일수록 입에 말세란 말을 달고 산다.

) --> 

나이 들어 입으로 짓기 쉬운 허물 16가지를 죽 나열한 뒤 허목은 이렇게 글을 맺었다. '삼가지 않는 사람은 작게는 욕을 먹고, 크게는 재앙이 그 몸에 미친다. 마땅히 경계할진저(有不愼者, 小則生詬, 大則災及其身. 宜戒之).' 16가지 구과(口過)를 범하지 않으려면 어찌해야 할까? 입을 꾹 닫고 침묵하면 된다. 어떤 말도 침묵만은 못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거처 이름을 '불여묵전사(不如默田社)'로 붙인 이유다.

 

 

'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律呂調陽(  (0) 2019.06.13
閏餘成歲  (0) 2019.06.13
含睇美人  (0) 2019.05.08
十無浪子  (0) 2019.05.08
四少八多  (0) 2019.05.08